인증·위치정보 등 네트워크 오픈 API로 제공
개발 진입 장벽 낮춰 시장 활성화 기여할 것

LG유플러스는 KT, SKT와 '네트워크 오픈 API' 표준 공동 제정 및 상용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KT, SKT와 '네트워크 오픈 API' 표준 공동 제정 및 상용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SK텔레콤, KT와 국내 통신 분야 '네트워크 오픈 API(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표준을 공동 제정하고 상용화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오픈 API는 누구나 간편하게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공개한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이번 협약은 국내 이동통신 산업의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하고 글로벌 표준에 맞춘 국내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체결됐다. 통신 3사는 국내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표준을 제정하고, 통신 사업자들간 연동 호환성를 지원할 계획으로 이를 통해 개발 진입 장벽을 낮추고 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전망이다.

통신 3사는 네트워크 오픈 API 기술로 통신 외 기업들이 통신사 상용 네트워크를 활용해 각 산업 연계 혁신서비스를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열릴 것으로 내다봤다. 재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위치정보·주문형 품질보장(QoD) API를 활용해 드론이 촬영한 실시간 영상을 5G네트워크로 전송, 인명구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 심(SIM) 카드 변경 이력이나 로밍 상태·위치정보 확인, 사용자 인증 강화로 금융범죄 예방에 활용이 가능하다.

이상헌 LG유플러스 네트워크선행개발담당은 "이번 통신 3사 협력으로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혁신적 서비스 제공의 발판을 마련했다"며 "통신 3사가 디지털 혁신성장을 이끄는 마중물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류탁기 SK텔레콤 인프라기술담당은 "네트워크는 단순 연결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넘어 인공지능(AI) 및 다양한 정보 기반 API로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는 텔코 인프라로 진화하고 있다"며 "외부 고객 개발 비용을 절감하고 서비스 출시 속도를 높이는 등 선순환 구조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종식 KT 네트워크연구소장은 "이번 MOU로 국내외 시장에 공통된 네트워크 API 기반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서비스 품질, 인증·보안 강화 등 다양한 고객 요구 사항을 글로벌하게 지원하도록 기술개발·표준화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근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