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 위험 감소한 반면 고용 하강 위험 증가 상황"
'빅컷' 가능성 완전 배제하지 않아…향후 고용보고서, 인하폭 단서 제공할 것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은 23일(현지시간)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열린 경제정책 심포지엄 기조연설 중 "노동시장의 추가 냉각을 추구하거나 반기지 않는다"며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다가왔음을 명확히 밝혔다.
그는 "인플레이션이 목표치 2%로 안정되게 복귀할 것"이라면서도 "인플레이션 위험이 감소한 반면 고용 하강 위험은 증가한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지난 2022년 이후 이뤄졌던 연준의 고된 물가전쟁이 사실상 마무리됐다고 선언한 셈이다. 다음달 금리인하 개시를 거의 확신할 수 있는 대목이다.
연준은 코로나19 팬데믹 부양책과 공급망 교란 등 충격 여파로 물가가 치솟자 이에 대응하기 위해 2022년 3월부터 지난해 7월까지 기준금리를 22년만에 가장 높은 수준인 5.25∼5.50%로 높인 바 있다.
연준은 이 과정에서 2022년 6∼11월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 금리인상)’만 4차례 연속 밟는 등 과격한 긴축정책을 펼쳤다.
파월 의장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첫 금리인하에 시선이 온통 집중된 가운데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계회의를 앞두고 연준의 생각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
그는 연준의 2% 인플레이션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 신중하게 움직이고 경제가 올바른 길로 가고 있는지 확인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해왔다.
하지만 이번 잭슨홀 연설에서 연준의 긴축 통화정책이 효과를 발휘했으며 오랫동안 기다려온 금리인하가 곧 단행될 것임을 강력히 시사했다.
그는 "통화정책을 조정할 시기가 도래했다"며 시장이 촉각을 곤두세운 인하속도에 대해서는 향후 경제 여건 변화에 따라 결정하겠다면서도 ‘빅 컷(0.50%포인트 금리인하)’ 가능성은 완전히 배제하지 않았다.
연준이 다음달 금리를 인하하리라는 것은 거의 확실하다.
시장은 이미 연준의 9월 금리인하 개시를 충분히 예견해왔다. 하지만 예상보다 선명한 파월 의장의 인하 개시 신호에 화답하는 분위기다.
이날 파월 의장의 잭슨홀 발언 이후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이 하락하고 뉴욕 주식시장의 3대 지수는 강세를 나타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9월 0.25%포인트 인하 확률을 65.5%로 반영하고 있다.
12월까지 1.00%포인트 인하 확률이 44%로 가장 높은 점도 전날과 다름 없다.
반면 내년 6월까지 인하폭이 2.00%포인트가 될 것이라는 베팅은 32.1%까지 확대됐다. 이는 현재 가장 유력한 시나리오다.
전날까지는 1.75%포인트 인하 확률이 34.4%로 가장 유력하게 꼽혔다.
이제 남은 의문은 연준이 금리를 얼마나 인하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앞으로 발표될 고용 보고서는 이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7월 고용 보고서는 실업률이 4.3%로 상승하면서 예상보다 부진한 결과를 보였다.
게다가 이번주 발표된 미 노동부 노동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의 고용 성장률이 이전 보고 내용보다 낮아 80만개 이상의 일자리가 하향 조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파월 의장은 이날 연설에서 고용시장의 둔화를 강조했다.
그는 "오늘날 고용시장이 이전의 과열 상태에서 상당히 냉각됐다"며 "실업률은 1년 전 상승하기 시작해 현재 4.3%로 역사적으로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지만 지난해 초반 수준보다 거의 1%포인트 높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로써 연준은 다음달 6일 발표될 고용 보고서를 예의주시하며 다음달과 올해 남은 기간 동안 금리는 얼마나 인하할지 결정할 것이다.
파월 의장의 연설은 계속 이어졌다.
"전반적으로 경제는 견조한 속도로 계속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인플레이션과 고용시장 데이터는 변하는 상황을 보여준다. 인플레이션 상승 위험이 줄고 고용 감소 위험은 증가했다. 지난 FOMC 회의 직후 성명에서 강조했듯 연준의 이중 임무에 대한 양쪽의 위험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파월 의장은 다음달 금리를 0.25%포인트 이상 인하하라는 일부 경제학자와 민주당 의원의 압력에 직면해 있다. 이런 압박은 고용시장의 불안정 때문이다.
그럼에도 파월 의장과 연준 관계자들은 여러 데이터를 살펴보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파월 의장은 이날 발언에서 금리인하 사이클 개시 신호를 명확하게 주면서도 그 시기와 속도에 관한 한 경제 상황에 따라 결정하겠다는 원론적 입장을 재확인한 것으로 평가된다.
잭슨홀 미팅에 참석한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이전에 "데이터의 변동성이 커 더 긴 시각에서 바라보는 게 필요하다"고 발언한 바 있다.
그는 이날 인플레이션이 2% 목표로 둔화하는 상황에서 연준은 고용 극대화 목표에 좀더 주의를 기울여야 할 때가 됐다고 말했다.
그는 잭슨홀에서 경제 매체 CNBC 방송과 인터뷰하면서 "파월 의장의 발언대로 우리는 물가와 고용이라는 두 목표 중 고용 측면에도 주의하길 원한다"며 "인플레이션이 2% 목표 경로에 있는 현 상황에서 우리는 지금 인플레이션과 싸우고 있는 게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물가전쟁 마무리 국면에서 연준이 경기침체 위험을 피할 수 있는지는 향후 몇 달간 경제 흐름에 의해 좌우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물가는 거의 잡혔지만 경기 연착륙 성공 여부는 아직 단언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파월 의장도 이런 우려를 고려한 듯 연설에서 "물가 안정으로 향한 추가 진전을 만들어 가는 동안 강한 고용시장 지지에 필요한 모든 조치를 다 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진수 선임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