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투자협회는 20일 '2024년 9월 채권시장지표'를 발표했다.
지난 9일에서 14일까지의 조사에서 종합 BMSI는 107.5(전월 101.6)으로 전월 대비 상승했다. 중동지역 지정학적 리스크가 심화되며 수입물가 상승 위험이 증가했으나,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전망이 지속돼 9월 채권시장 심리는 전월 대비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금리 BMSI는 설문응답자 90%(직전 99%)가 8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응답했고, 10%는 25bp를 인하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9월 미국 기준금리 인하 전망이 우세한 상황에 국내 내수 부진 우려가 더해져 8월 금통위의 기준금리 하락에 대한 예상이 전월 대비 증가했으나, 가계부채 및 부동산 리스크 우려 등으로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하는 응답자가 여전히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다.
금리전망 BMSI는 114.0(전월 112.0)으로 시장금리 관련 채권시장 심리는 전월 대비 보합세인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경기침체 우려, 기준금리 인하 기대로 인해 시장금리 상단은 제한된 가운데, 글로벌 통화정책, 경제지표 발표 등을 대기하며 9월 금리보합 응답자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
응답자의 62%(전월 54%)가 금리보합에 응답했고 금리상승 응답자 비율은 12%(전월 17%)로 전월대비 5%포인트 하락, 금리하락 응답자 비율은 26%(전월 29%)로 전월대비 3%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 BMSI는 114.0(전월 124.0)으로 물가 관련 채권시장 심리는 전월 대비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확산 우려에 유가 및 수입물가 변동폭이 확대돼 9월 물가하락 응답자가 전월 대비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의 20%(전월 27%)가 물가하락에 응답해 전월 대비 7%포인트 하락했고, 물가상승 응답자 비율은 6%(전월 3%)로 전월 대비 3%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율 BMSI는 116.0(전월 108.0)으로 환율 관련 채권시장 심리는 전월 대비 호전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달 말 일본의 기준금리 인상 단행과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확산으로 인한 달러약세 압력이 증가해 9월 환율 하락 응답자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23%(전월 16%)가 환율하락에 응답해 전월 대비 7%포인트 상승했고, 환율상승 응답자 비율은 7%(전월 8%)로 전월대비 1%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현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