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설비 투자·기술개발 등 환경중심 경영 전환에 속도

삼표시멘트가 친환경 설비를 확충하는 등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ESG 경영 활동을 확대하고 있다./사진=삼표시멘트
삼표시멘트가 친환경 설비를 확충하는 등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ESG 경영 활동을 확대하고 있다./사진=삼표시멘트

삼표시멘트는 '2050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친환경 설비를 확충하는 등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활동을 확대하고 있다고 9일 밝혔다.

삼표시멘트는 친환경 설비와 제품 확대에 적극적인 모습이다. 삼표시멘트에 따르면 2019년 20억원을 투입해 가연성 생활폐기물 연료화 전처리 시설을 건립해 강원 삼척시에 기부했다. 생활폐기물을 다량 탄소를 배출하는 시멘트 생산 연료인 유연탄의 대체제로 사용하는 설비로 이 시설로 하루 70톤, 연간 약 2만톤의 생활폐기물이 시멘트 생산연료로 사용된다.

2022년에는 110억원을 들여 삼척공장 석회석 보관장에 밀폐형 원료 저장설비를 설치하고 밀폐식 석탄재 이송 설비를 개발, 지난해 8월부터 가동을 개시해 비산 먼지를 원천 차단했다. 지난해에는 60억원을 투입해 제주항에 시멘트 전용선을 투입하고 시멘트 분진 방지를 위해 업계 최초로 밀폐형 하역 설비를 구축해 작업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였다. 

삼표시멘트는 탄소중립을 위한 설비 투자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생산 중심 운영에서 환경 중심 경영으로 전환하고자 약 1700억원 규모의 중장기 친환경 설비 투자를 진행 중이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21% 감축하고 2050년에는 54% 감축하는 '탄소 중립'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신재생에너지 사용에도 적극적으로 2004년 설립한 폐열회수발전소를 통해 시멘트 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고온 열풍을 보일러의 열원으로 재활용해 전기를 생산한다. 지난해 약 6만6000MWh의 전력을 생산해 삼척공장 총 전력 사용량의 8.3%를 대체하면서 약 3만t의 온실가스를 감축했다.

삼표시멘트는 지역사회 환원을 위한 활동으로 해양환경 정화, 취약계층 지원 등 다양한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오는 2026년까지 그룹의 전문성을 활용한 사회공헌 활동으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2027년부터 시멘트산업 사회공헌재단을 브랜드화해 지역사회를 대표하는 사회공헌 사업으로 거듭나게 할 계획이다.

그룹사간 시너지를 통해 ESG 저변도 계속 확대될 전망이다. 삼표그룹은 골재부터 시멘트, 레미콘, 사전제작 콘크리트(PC)까지 건설기초소재 수직계열화를 완성한 기업이다. 

삼표그룹의 주력 계열사인 삼표산업은 성수공장 레미콘 부지를 활용해 서울 성수동 일대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성수동 일대가 서울시내의 업무·관광·문화를 견인하는 혁신 거점으로 탈바꿈할 전망으로 건설기초소재를 주력으로 하는 삼표그룹이 신사업영역 구축 시작을 알렸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역시 계열사인 에스피앤모빌리티는 '셈페르엠'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첨단 로봇주차 솔루션인 '엠피시스템'을 국내에 선보인다. 엠피시스템은 운전자가 별도 하차 공간에 내리면 로봇이 차량을 들어 올려 주차 격납실로 옮기는 방식이다.

삼표시멘트 관계자는 "ESG 전략 목표를 바탕으로 적극적인 ESG 경영 실천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친환경 자원순환 사회 구축과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동시에 공정하고 투명한 기업문화 조성으로 ESG 경영 선도기업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김근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