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 환불 고객 마주한 위메프 대표 / 사진=연합뉴스
직접 환불 고객 마주한 위메프 대표 / 사진=연합뉴스

전자지급결제대행(PG사)업체와 간편결제사가 티몬·위메프 결제 고객을 상대로 환불을 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나 소비자들은 여전히 혼란을 겪고 있다.

30일 피해자들이 모여있는 오픈 채팅방에서는 "소액만 먼저 환불해주는 것 같다", "계좌환불 대기 상태인데 들어왔다", "카드사에서는 2주 기다리라고 한다" 등 환불과 관련해 답답함을 호소하는 글들이 이어지고 있다.

피해자 대책에 대한 명확한 지침 없이 결제 수단과 판매처에 따라 환불 절차와 보상 방침이 다르다 보니 혼란이 가중되는 것이다.

카드 결제가 아닌 무통장입금으로 결제를 한 피해자는 PG사의 결제 취소나 신용카드 이용대금 이의제기 절차 등을 밟을 수 없어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위메프에서 무통장 입금으로 가전제품을 구매한 30대 중반 최모 씨는 "이 사태가 난 줄 모르고 지난 24일 160만원대 가전을 카드 결제가 안 돼 무통장으로 입금했다"며 "다음 날 판매자가 취소 처리를 해줬지만, 환불대금을 아직 못 받았고 앞으로 어떻게 이 돈을 돌려받을 수 있는 건지 아무런 정보도 없다"고 답답함을 토로했다.

지난 24일 새벽부터 27일 낮까지 피해자들이 점거한 티몬과 위메프의 '현장 환불'을 두고도 논란이 이어졌다.

현장에 도착한 순서대로 '선착순 환불'이 이뤄지다 보니 지방에 살거나 직장 때문에 현장에 가지 못한 피해자들의 불만이 터져 나왔다.

위메프의 현장 환불이 중단된 27일 뒤늦게 울산, 광주 등에서 올라온 피해자들은 환불받지 못했다.

수백명이 몰린 티몬 사무실에서는 먼저 온 피해자들이 에어컨이 나오는 건물 안에 자리를 잡고 뒤늦게 온 피해자들은 건물 밖에서 땡볕과 소나기를 그대로 마주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지하 1층에 있던 앞 순번의 피해자들이 당시 현장에 있던 권도완 티몬 운영사업본부장과 환불 정보를 주고받으면서 뒤 순번의 피해자들에게는 정보를 차단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를 두고 영화 '설국열차'에 비유해 '티몬 열차'라는 비아냥도 쏟아졌다.

최연성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