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상장사 수 주요국 대비 많아"
한국거래소 "필요하다면 용역 발주해 정책 개선"
시장과 금융당국이 상장사들의 건전성 제고에 관심을 두면서 이른바 '좀비'로 불리는 국내 부실 상장사들이 국내 증시에서 퇴출되는 선순환 생태계가 만들어질지 관심이 쏠린다. 한국거래소는 좀비·부실 상장사 퇴출 관련 제도 개선을 위한 검토를 시작했으며, 필요하다면 용역을 발주해 정책 개선까지 이뤄내겠다는 입장이다.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지난 24일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 질의응답에서 "우량 혁신기업은 증시에 쉽게 진입하고 좀비·부실기업은 적시에 퇴출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 이사장은 "국내 상장사가 2600개 정도인데 우리보다 15배 큰 시장인 미국 뉴욕거래소나 나스닥 상장사가 5500개 규모이니 다른 주요 선진국들에 비춰 국내 상장사 수가 많은 편"이라며 "국내총생산(GDP) 대비 전체 시가총액에 비해서도 많다"고 지적했다.
이어 좀비 기업이 시장에서 퇴출되지 않으면 그 피해가 고스란히 투자자에게 돌아간다고 했다.
정 이사장은 "좀비 기업이 시장에서 상장을 유지하면 투자자금이 묶여 있게 된다"며 "만약 적시에 퇴출이 된다면 투자자금이 건전 기업들에 대한 투자 등 대안적 투자로 전환될 수 있을 것"이라고 봤다.
지난해 기준으로 미국 증시에서 퇴출된 기업은 20%, 일본은 70% 수준으로 집계됐다.
정 이사장은 "원칙에 맞는 퇴출제도를 운영해 증시 진입과 퇴출의 선순환 구조가 이뤄지도록 해야 자본시장의 건전성이 유지되고 건전한 기업의 밸류업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현재 퇴출과 관련한 제도 개선을 위한 검토를 시작했다"며 "필요하다면 용역을 발주하고 여러 의견을 수렴해서 정책당국과 협의를 거치고 상장사 퇴출 원칙 방안을 적극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해 '비적정' 감사의견을 받은 상장사는 1년 전보다 늘어났다.
3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회계연도 감사보고서에서 상장법인 65개사가 비적정 감사의견을 받았다. 이는 전년 53개사보다 12개사 증가한 것이다.
'의견 거절' 기업은 57개사로 11개사 늘었고 '한정'은 8개사로 1개사 늘었다.
김현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