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중개인 역할 강화..'청년 채용의 날' 행사로 직접 매칭

채용박람회에서 면접을 보고 있는 대학생[연합뉴스 자료사진]

구직을 원하는 청년들이 서류전형 탈락이라는 고배를 마시지 않고 100% 취업 면접에 참여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정부는 27일 발표한 '청년·여성 취업연계 강화 방안'에서 기업 인력수요를 발굴해 직접 취업으로 연계시켜주겠다며 이런 방안을 밝혔다.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에 설치된 고용존별로 정부가 발굴한 기업 구인수요와 구직자를 직접 매칭해주는 '청년 채용의 날' 행사가 신설된다.

이는 청년 구직자들이 "수십번 원서를 넣어도 서류전형을 통과해 면접 한번 보기도 어렵다"는 어려움을 호소하는데 따른 방안으로 마련됐다.

이 행사는 대규모 채용박람회가 아니라 실제 구인수요를 위한 소규모 매칭 형태로 진행된다.

고용존별로 매월 1회씩, 매회 1∼2개 기업이 참여하며 연간으로는 200여회 진행될 예정이다.

산업 분야별 채용행사도 대폭 늘어난다.

정부는 규제개혁과 투자확대 등을 통해 서비스산업 신사업 등 일자리를 창출한 뒤, 특화된 교육훈련과 분야별 채용행사를 통해 이를 실제 취업으로 연계한다는 복안이다.

에너지 부문에서는 개인간 소규모 전력거래를 허용하고 시장을 구축, 전력거래중개사 일자리를 창출한 뒤 오는 10월 채용박람회를 통해 70명 안팎을 취업시킬 예정이다.

관광 분야에서는 호텔 건립규제 완화, 복합리조트 조성 등을 통해 호텔리어나 카지노 딜러 등 일자리를 만들어 9월 박람회에서 300명, 11월 박람회에서 200명을 매칭한다는 계획이다.

이밖에 금융(9월·500명), 문화콘텐츠(10월·50명), 마리나(10월·50명), 안전(6월·100명), 중소·중견기업(9월·100명, 11월·200명) 등 분야 채용행사가 예정돼 있다.

고용디딤돌과 사회맞춤형 학과 등 기존 제도도 확대 운영된다.

먼저 올해부터는 고용디딤돌 프로그램에 삼성·SK·현대자동차·LG 등 창조센터 전담 대기업 16곳을 모두 참여할 예정이다.

고용디딤돌은 대기업들이 우수한 훈련 시설을 활용해 청년 인력을 직접 교육하고 협력사나 자기 기업에 채용도 하는 청년 일자리 창출 프로그램이다.

작년 7곳에 그쳤던 공공기관 참여도 17곳으로 늘어 올해 고용디딤돌 수혜를 보는 구직자 수는 총 9천400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공공기관의 경우 고용디딤돌 운영실적을 경영평가에 반영해 확대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고용디딤돌을 운영하는 대기업과 공공기관에 훈련비 지출 부분을 손금산입으로 인정해주고, 청년이 받는 훈련수당에 대해 비과세 혜택을 주는 등 재정·세제지원도 늘린다.

또 대기업과 공공기업 공개채용시 고용디딤돌 수료생에게 가점을 부여하도록 유도한다.

기업과 대학이 산학협력을 통해 맞춤형 교육과정을 만들어 운영하고, 실제 채용으로까지 이어지는 대학 사회맞춤형 학과는 내년 참여 학생수 1만5천명에서 2020년 2만5천명으로 확대한다.

이를 위해 산학협력촉진법에 사회맞춤형 학과 설치에 대한 근거규정을 만드는 등 법제화를 통해 중소기업 25%, 중견기업 8∼15%, 대기업 2∼3%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 사회맞춤형 학과에 대한 전수조사를 오는 5월까지 실시하고, 그 결과를 대교협 홈페이지와 대학입학정보박람회 자료에 포함해 공개할 예정이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