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오후 6시 공식 유튜브 채널서 '중고거래 사기에서 살아남기' 본편 공개

사진=토스
사진=토스

토스는 20일 저녁 6시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보안 캠페인의 두 번째 오리지널 필름 '블록 버스터즈(Block Busters): 중고거래 사기에서 살아남기' 본편을 공개한다고 밝혔다.

토스는 '정보보호의 달'인 7월 한 달간 집중적으로 보안 캠페인을 진행 중이며, 그 일환으로 토스 오리지널 필름 두 편을 제작했다. 첫 번째 편인 '헬소닉'(Hellsonic)은 화이트해커로만 구성된 토스 보안기술팀의 이야기로, 본편 공개 20일 만에 조회수 200만을 넘어서는 등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이날 저녁 6시에 공개되는 두 번째 오리지널 필름 '블록 버스터즈'는 일상에 가장 가까운 금융 범죄인 중고거래 사기 범죄를 추적하는 다큐멘터리다. 타이틀에서부터 중고거래 사기의 상징처럼 여겨지는 '벽돌'(Block)을 활용했다. 여기에 '추적하는 사람들'이라는 뜻의 '버스터즈'(Busters)를 더해 '중고거래 사기를 추적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제목이 완성됐다.

경찰청에 따르면 2022년 중고거래 사기 피해 건수는 약 8만3000여건에 이른다. 하루 평균 200건 이상인 셈이다. 또한 조직형 범죄로 번지며 규모도 날로 커져가고 있다. 10대 청소년이나 중장년층 등 디지털 금융 취약 계층이 중고거래 범죄의 가장 큰 타깃이 된다는 점도 큰 우려점이다. 

하지만 중고거래 사기는 개별 사건의 피해액이 크지 않다는 이유로 주목도가 높지 않다. 이에 토스는 '블록 버스터즈'를 통해 중고거래 사기에 대한 심각성을 조명함으로써 사회적 관심을 환기시키고자 했다.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들뿐 아니라 첫 대화부터 송금 직전까지 중고거래 범죄의 발생 과정을 생생하게 담았다. 또한 직접 추적하며 문제를 파헤치는 과정들을 통해 중고거래시 주의해야 할 부분들을 함께 전달하고자 했다.

'블록 버스터즈' 예고편 / 동영상=토스

특히 '블록 버스터즈'에서는 지난 8년 동안 수백여 명을 상대로 사기를 저지르고 있는 조직을 집중 조명한다. 해당 조직은 대기업 직원들의 신분을 사칭해 전자기기 '직거래'를 빌미로 중고거래 사기를 지속하고 있다. 제작 과정에서 중고 사기 범죄와 싸우고 있는 '사기나라' 운영진과 긴밀한 협업을 통해 해당 조직으로 추정되는 판매자를 포착했으며, 거래를 시도하는 과정에서 직접 통화를 나눈 내용까지 다큐멘터리에 담았다. 또한, 중고거래 사기를 넘어 2차, 3차 피해까지 당하고 있는 피해자들의 증언도 담겼다.

'블록 버스터즈'를 연출한 토스 브랜드 커뮤니케이션팀 김창선 PD는 "이미 많은 사람들이 경험하고 있는 중고거래 사기 이슈를 깊이 있게 추적해 사회적 관심을 환기하고, 앞으로 더 이상 피해자가 생기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 이번 다큐멘터리를 제작하게 됐다"면서 "사기 조직을 추적하고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더욱 널리 알려지기를 바라며, 금융 브랜드로서 토스가 하고 있는 다양한 노력도 함께 전해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공개되는 영상의 '블록 버스터즈'에게 응원의 댓글을 남기면 추첨을 통해 굿즈 패키지를 선물하는 시청자 이벤트도 진행한다.

한편 토스는 송금하려는 계좌가 사기이용계좌인지 확인하는 '사기의심 사이렌', 토스를 통해 송금하고 사기임이 밝혀졌을 때 내규에 따라 보상해 주는 '안심보상제' 등 중고거래 사기에 따른 직간접적 피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안심보상제'는 사용자들이 토스를 통해 안심하고 금융생활을 할 수 있도록 사건에서 명확한 책임소재가 나오기 전에 피해를 구제하는 것이 특징이다. 보상의 범위 또한 명의도용, 보이스피싱, 중고거래 사기 등 다양하다. 

'안심보상제'는 2020년 7월 처음 도입됐으며, 2022년 한 해 동안 약 2500명의 고객이 15억8000만원 상당의 피해를 구제받았다. 

김신회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