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클라우드는 한국은행과 '공공 DaaS(Desktop as a Service)' 계약을 체결하고 클라우드 기반 데스크톱 가상화(VDI)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7일 밝혔다. 공공 DaaS 도입은 한국은행이 처음이다.

그동안 공공·금융 기관은 일반 기업 대비 높은 수준의 보안이 필요한 정보와 데이터를 다루고 있어 관련법에 따라 구축형 VDI를 이용해야만 했다.

공공 DaaS는 공공·금융 기관 전용 클라우드 서비스로 국가가 지정한 보안 규격을 충족하면서 시간·장소·단말 제약 없이 원격근무 환경을 제공한다.

KT클라우드의 공공 DaaS는 VDI 시장에서 성능과 기능이 검증된 솔루션인 틸론 가상화 프로토콜(틸론 D스테이션9.0) 기반으로 △보안성 △비용 효율성 △관리 편의성을 동시에 갖췄다.

먼저 유해 사이트·트래픽 차단, 안티바이러스 서비스, 전문 보안관제 서비스 등으로 강력한 보안성을 보장한다. 또 안전한 자료 전송과 정보 유출 통제를 위해 파일전송 승인·이력 관리·전송탐지 등 기능을 갖춘 '망간자료전송 서비스'를 부가서비스로 유일하게 제공한다.

매월 사용량에 따라 기관 스스로 VDI를 자유롭게 생성,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관리자 포털을 통해 고객 기관이 SW 설치·구동 검증·변경 관리 등 직접 운영할 수도 있고, '매니지먼트 서비스'로 대행을 요청할 수도 있다.

구축형 VDI는 설계, 구축, 도입까지 수개월 이상의 시간과 비용이 수반되고, 이후에도 운용·관리가 필요했다. 하지만 공공 DaaS는 도입 기간과 비용이 들지 않고 관리 서비스까지 제공해 기관의 업무·비용 부담이 줄어든다.

행정안전부는 2025년까지 공공 기관에 DaaS 도입을 추진하고 있으며 금융당국도 전자금융감독규정을 개정해 클라우드 활용을 권장하고 있다.

남충범 KT클라우드 Cloud본부장은 "보안성과 안전성이 중요한 한국은행의 공공 DaaS 도입으로 국내 공공 DaaS 시장 성장이 가속화될 것으로 본다"며 "공공 DaaS 시장을 지속적으로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전보규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