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립토 윈터 극복 무기는 블록체인 상품·서비스"

송치형 두나무 회장이 22일 부산항 국제 전시컨벤션센터(BPEX)에서 개막한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UDC) 2022' 오프닝 스테이지에서 발언하는 모습 / 사진=두나무
송치형 두나무 회장이 22일 부산항 국제 전시컨벤션센터(BPEX)에서 개막한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UDC) 2022' 오프닝 스테이지에서 발언하는 모습 / 사진=두나무

송치형 두나무 회장이 크립토 윈터가 지나면 SNS, 메신저보다 월렛이 더 익숙하고 토큰을 통해 본인의 정체성을 관리하는 것이 일상인 '블록체인 세대'를 맞이하게 될 것이라며 미래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송 회장은 22일 부산항 국제 전시컨벤션센터(BPEX)에서 개막한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UDC) 2022' 오프닝 스테이지에서 이런 견해를 밝혔다.

그는 크립토 윈터를 이겨낼 무기는 블록체인 상품과 서비스의 발전이라고 강조했다. 송 회장은 "이번 하락장을 크립토 윈터란 단어로 많이 표현하는 데 UDC를 처음 시작했던 2018년 9월에도 비슷한 상황이었다"며 "하지만 이미 디파이(DeFi), NFT 등 주요 디앱(Dapp) 초기 개념들이 생겨나고 있었고 다양한 투자자와 프로젝트팀을 통해 발전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3년여간의 긴 침체기를 넘어선 원동력은 디파이, NFT, P2E 등 각각의 분야에서 나타난 실제로 작동하는 상품·서비스였다"며 "다양한 조건이 있었지만 제품을 통한 검증만이 긴 겨울을 끝내고 전고점을 돌파한 충분조건이었다"고 설명했다.

블록체인 서비스 환경은 2018년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좋아졌다고 봤다. 송 회장은 "이더리움 머지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서 확장성 향상을 위한 첫발을 내디뎠고 완성도 높은 레이어 1·2 체인들이 하나씩 나오면서 늘 발목을 잡던 확장성 이슈가 점차 해소되고 있다"며 "사용성 및 접근성 역시 많이 개선되고 있고 서비스 개발 환경 역시 이전에 비해 놀라울 정도로 향상됐다"고 말했다.

토큰의 개념이 NFT로 확장됨에 따라 초기 금융 및 핀테크 기업 중심으로 이뤄진 블록체인 프로젝트 참여가 브랜드, 커머스, 콘텐츠 등의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는 점도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두나무의 블록체인 사업은 세 가지 방향성으로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송 회장은 "업비트는 컴플라이언스와 투자자보호에 초점을 두고 있다"며 "트래블 룰 대응을 위해 베리파이바스프(Verify VASP) 서비스를 적용하고 국내 21개, 해외 12개 거래소 및 주요 월렛과의 연동을 통해 안전한 입출금 네트워크를 구성했다"고 소개했다.

또 컴플라이언스 조직을 전년보다 3배 수준으로 확대하고 있고 업비트 투자자 보호센터를 통해 지속적인 이벤트, 콘텐츠 배포를 하면서 투자자 보호를 위해 노력 중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업비트 NFT는 엄격한 저작권 관리와 KYC 프로세스에도 불구하고 순수미술 중심의 국내 최대 NFT 거래소로 자리 잡고 있다"며 "최근에는 KBO와 함께 크볼렉트란 NFT 컬렉션을 런칭하면서 새로운 고객층을 확보 중이고 앞으로 다양한 컬렉션으로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또 업비트 NFT는 기존의 루니버스 NFT 중심의 환경에서 이더리움 기반의 ERC-721 등 다양한 멀티체인 확대를 계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이브와 합작해 설립하려고 했던 레벨스(Levvels)도 다양한 웹3 사업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송 회장은 "이번 겨울이 얼마나 길게 지속될지 모르겠지만 이 겨울의 끝은 이제까지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국면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어쩌면 SNS, 메신저보다 월렛이 더 익숙하고 토큰을 통해 본인의 정체성을 관리하는 것이 일상인 블록체인 세대를 맞이하게 될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전보규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키워드

#두나무 #UDC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