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자동차 노동조합이 17일 오전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앞에서 산업은행의 지원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사진=쌍용차
쌍용자동차 노동조합이 17일 오전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앞에서 산업은행의 지원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사진=쌍용차

쌍용자동차 노동조합이 산업은행에 200억원가량의 지원이자를 탕감하고 1900억원의 원금을 출자전환해달라고 호소했다. 산업은행이 쌍용차와 협력사들이 살아날 수 있게 힘을 보태달라는 것이다.

17일 쌍용차 노조는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중소 협력업체의 변제율을 높이는 데 사용되도록 산업은행이 지연이자 196억원 전액을 탕감해달라고 요구했다. 원금 1900억원에 대한 출자 전환도 요청했다.

KG그룹의 쌍용차 인수가 성사되고 쌍용차와 함께한 협력사들이 동반 성장할 수 있도록 고통을 분담해달라는 것이다.

쌍용차의 340여개 협력사는 법정관리 이전에 발생한 3800억원의 회생채권이 동결됐지만 법정관리 이후 2500억원의 자재대금도 받지 못했지만 정상적으로 자재 납품을 이어왔다. 어려운 경영 여건에도 불구하고 쌍용차의 회생을 믿고 함께 해 온 것이다.

쌍용차를 인수하기로 한 KG그룹은 협력사로 구성된 상거래 채권단의 변제율을 높이기 위해 인수대금 이외에 300억원을 추가 투입하기로 했다. 쌍용차 임직원들은 체불임금에 대한 자발적인 출자전환으로 회사 정상화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다.

하지만 산업은행은 인수대금 원금과 이자를 100% 변제받는다. KG컨소시엄의 인수대금 3655억원의 절반이 넘는 돈이다. 이런 영향으로 협력사로 구성된 상거래채권단의 실질 변제율은 41.2%에 불과하다. 산업은행이 변제받는 규모가 줄면 협력사들의 현금 변제율은 높아진다.

선목래 쌍용차 노조위원장은 "산업은행이 부품산업을 육성하고 산업 생태계를 보전해야 하는 국책은행의 책임과 역할을 방기하고 중소 부품사의 어려운 경영 현실을 외면한 채 뒷짐만 지고 있다"며 "산업은행의 100% 현금변제와 중소 영세 협력사의 14% 현금변제가 공정한 것인지 묻고 싶다"고 말했다.

또 최소한 국책은행 스스로 지연이자를 탕감해 협력사의 현금 변제율을 제고하는 게 기본 상식이자 사회 정의라고 강조했다.

쌍용차가 지속 가능한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상거래 채권단인 협력업체들과의 동반 성장이 필수 불가결한 조건이라도 목소리를 높였다. 상거래 채권단은 60% 이상이 중소업체다.

선 위원장은 "쌍용차의 운명은 오는 26일 관계인집회를 통해 결정 난다.""며 "관계인 입회 부결로 KG그룹이 투자철회를 선언하면 쌍용차와 중소 영세 협력사는 공멸이란 끔찍한 파국을 맞을 수밖에 없다"고 호소했다.

이어 정책결정은 타이밍이 중요하다며 관계인 집회 이전에 산업은행이 빠른 결정을 해야한다고 촉구했다.

전보규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키워드

#쌍용차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