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참가가 비중 42%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 창시자가 8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개최된 블록체인 컨퍼런스 'KBW2022:IMPACT'에서 발표하는 모습 / 사진=팩트블록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 창시자가 8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개최된 블록체인 컨퍼런스 'KBW2022:IMPACT'에서 발표하는 모습 / 사진=팩트블록

아시아 최대 블록체인 이벤트 '코리아블록체인위크 2022(KBW 2022)'의 열기가 뜨겁다.

블록체인 커뮤니티빌더 팩트블록은 지난 8일부터 이틀간 서울 강남구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개최된 KBW 2022의 메인 컨퍼런스 'KBW2022:IMPACT'에 연인원 8700명이 방문했다고 10일 밝혔다. 참가자 중 42%는 외국인이다.

총 130여명에 달하는 글로벌 블록체인 거장들이 기조연설자로 나섰는데 그중에서도 이더리움 창시가 비탈릭 부테린의 '포스트 머지: 이더리움의 미래'에 대한 관심이 특히 높았다.

부테린은 다음 달 진행될 지분증명방식(PoS) 업데이트 이후 블록체인의 확장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가상자산을 통한 실질적 결제가 2~3년 안에 대중화될 것이란 전망도 내놨다.

블록체인 사업을 펼치는 국내외 게임업체와 전문가들도 참가해 블록체인 서비스와 사업전략, 관련 기술 등을 선보였다.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는 자사 블록체인 플랫폼 '위믹스'가 3년 내에 글로벌 1등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자신하며 오픈 플랫폼 구축을 위한 비전을 발표했다. 기존 게임 시장의 오픈 플랫폼과 달리 블록체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위믹스를 키워가겠다는 것이다. 

서상민 클레이튼재단 이사장은 클레이튼이 블록체인 대중화를 위한 기술적 우위를 선점하고 있는 만큼 글로벌 레이어1 플랫폼으로서 입지를 굳혀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또 블록체인 게임에 집중해 메타버스에 블록체인을 접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규창 컴투스USA 법인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글로벌 블록체인 메인넷을 지향하는 'XPLA(엑스플라)'를 최초로 공개했다. 

글로벌 블록체인 기업들도 대거 참여했다. 솔라나재단의 자니 리 GM과 매트 소그 프로덕트 및 파트너 개발 총괄이 연이어 연사로 나서 블록체인의 역할과 웹 3.0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얏시우 애니모카브랜즈 회장은 웹3.0 시대를 주도할 가능성은 아시아에 있다고 말해 주목을 받았다. 이외에도 △샌디프 네일월 폴리곤 공동창업자(온라인 참여) △케빈 세크니키 아바랩스(아발란체) 공동창업자 △알렉스 스바네빅 난센 공동창업자 등이 참여했다.

이번 행사를 주최한 전선익 팩트블록 대표는 "KBW2022에 전례 없는 뜨거운 열기를 보내준 한국의 블록체인 커뮤니티에 감사드린다"며 "KBW는 전 세계 블록체인 업계 관계자들이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미래 기술의 발전 방향을 토론하는 축제의 장으로서 이제 아시아를 넘어 글로벌 블록체인 행사로 자리매김했다"고 말했다.  

올해 5회째를 맞는 KBW2022는 블록체인 커뮤니티빌더 팩트블록이 주최하고 블록체인 벤처캐피탈 해시드가 공동 주최하며, 블록체인 헤지펀드 ROK캐피탈이 파트너로 참여한다.
 

전보규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