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로이터연합뉴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미국 뉴욕증시가 8일(현지시간) 사흘 연속 랠리를 이어갔다.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우려가 일부 해소되면서 위험자산에 다시 투자가 몰리고 있다.

시장에서는 이제 10일 발표될 미국의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다음주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에 더 관심을 쏟고 있다.

다우지수는 전날보다 0.10% 오른 3만5754.75를 기록했다. S&P500은 4701.21로 0.31% 뛰었고, 나스닥은 0.64% 상승한 1만5786.99로 마감했다.


//주요뉴스

▶에버그란데 위기, 리먼사태와 달라(블룸버그)

-중국 2위 부동산개발업체 에버그란데(헝다)그룹의 채무불이행(디폴트)이 글로벌 금융위기를 본격화한 리먼브라더스 사태와 다른 양상이라는 분석. 이날 CSI300지수가 6주 만에 최고치로 치솟고, 달러 달러 대비 위안화 가치가 2018년 5월 이후 최고 수준으로 오른 게 그 방증이라고.

-에버그란데가 채무상환에 실패했음에도 금융시장 영향이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건 중국 당국의 적극적인 개입 덕분이라고. 인민은행은 지급준비율 인하를 단행했고, 공산당 중앙정치국은 유동성 공급 확대 신호 발신.

-또한 중국 정부는 무질서한 파산 우려에 맞서 질서정연한 채무조정 추진. 씨티그룹은 최신 투자노트에서 중국 정부가 시장 침체를 막기 위해 추가 개입에 나설 것으로 예상.

-일각에서는 다른 부동산기업들의 디폴트로 투자자 피해가 크게 증가할 수 있다고 우려. 애비셱 라와트 홍콩 자산운용 포트폴리오매니저는 이미 상당한 수준의 피해가 발생했고, 완전한 회복에 대한 기대도 낮아 추가적인 공황 사태가 발생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


▶JP모건, 내년 코로나19 종식·세계경제 완전한 회복 예상

-새로운 백신과 치료제 등으로 경기회복세가 강해지고, 세계적인 인적·물적자원의 이동이 보다 원활해질 것이라는 전망. S&P500지수와 신흥시장 주가도 각각 8%, 18% 상승할 수 있다고.

-글로벌 조달금리 기준인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내년 말 2.25%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


▶ECB 부총재 "인플레이션 2% 수준 복귀에 시간 더 걸릴 것"

-루이스 데 귄도스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는 내년 초 인플레이션 수준이 낮아지기 시작하고, 하반기에 하락세가 가속화할 것이라는 전망 고수.

-다만 물가상승률이 안정 목표치인 2% 수준까지 떨어지는 데는 예상보다 시간 더 걸릴 것이라고. 특히 내년에는 임금상승 속도가 더 빨라질 수 있다고.


▶印중앙은행, 주요 정책금리 동결..."경제성장이 최우선 과제"

-인도 중앙은행이 정책금리인 레포금리를 4%로 동결. 자생적인 성장 모멘텀 유지를 위해 필요할 때까지 통화완화 기조를 유지하겠다고. 시장에서는 예상보다 완화적인 조치라고 평가.


//외신분석

블룸버그 칼럼니스트인 빌 더들리는 8일 쓴 글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다음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시장을 놀라게 할 일이 예상보다 많을 것이라고 전망했다./사진=블룸버그 웹사이트 캡처
블룸버그 칼럼니스트인 빌 더들리는 8일 쓴 글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다음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시장을 놀라게 할 일이 예상보다 많을 것이라고 전망했다./사진=블룸버그 웹사이트 캡처

▶12월 FOMC, 놀랄 일 더 많을 것(블룸버그)

-연준이 오는 14~15일 예정한 올해 마지막 FOMC 정례회의에서 시장을 놀라게 할 일이 예상보다 더 많을 것이라는 전망.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가속화뿐 아니라, 향후 3년간 통화긴축 강화 신호 등을 발신할 수 있다고. 이르면 내년 3월 기준금리 인상 여지를 확보하고, 인플레이션 압력을 낮추기 위한 방편.

-미국 금리선물시장에서는 연준이 내년에 0.25%포인트씩 2~3차례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 연준의 통화정책 기조가 완화적이라는 평가가 많은 상황에서 금리인상 가속화 신호는 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다고.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