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국제금융시장에서 주목하는 이슈는?
①바이든 미국 대통령 취임
▶20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취임식. 현지시간 오전 11시 30분 시작, 정오께 취임선서.
▶취임식 전후 관심은 △19일 트럼프 대통령의 사면 명단 △트럼프 대통령의 백악관 퇴거 △취임식 군중 난입 여부 △바이든의 추가각료 인선 및 행정명령 내용.
▶취임식 전날인 19일 상원 위원회들은 재무(옐렌), 국토안보부(마요르카), 국방(로이드
오스틴III), 국무(블린켄) 장관후보자에 대한 청문회 개최. 본회의 인준 여부는 미정.
②중국 4분기 성장률. 미국·유로존 1월 제조업지수 반락 가능성
▶18일 중국 지난해 4분기 성장률 발표. 3분기 4.9%(전년동기대비)로 2개 분기 연속 반등 후 6%대 추가성장 예상. 같은날 발표될 12월 소매판매(11월 전년동기대비 5.0%), 고정자산투자(2.6%)도 최근 회복세를 이어갈 전망. 다만 산업생산(7.0%)은 4개월 연속 제자리 가능성.
▶22일 미국과 유로존 1월 마킷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잠정치 발표. 전월 각각 57.1, 55.2에서 하락 예상. 21일 미국 주간실업수당신청건수는 전주 급등후(96.5만명) 추가 증가 여부에 관심.
③ECB, BOJ 통화정책 동결 예상. 캐나다, 말레이시아, 남아공은 금리인하 가능성
▶유럽중앙은행(ECB)은 21일 통화정책회의 개최. 지난 12월 자산매입(양적완화) 규모∙기간(내년 3월까지 1.85조유로)을 확대한 바 있어 이번에는 정책금리(예금금리-0.5%, 한계대출금리 0.25%) 동결 예상.
▶일본은행(BOJ)은 20~21일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존 통화완화기조를 재확인할 전망.
▶20일 캐나다, 중국, 브라질, 말레이시아, 21일 인도네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 터키, 노르웨이 중앙은행도 통화정책회의 개최. 캐나다(0.25%), 말레이시아(1.75%), 남아공(3.50%)은 금리인하 가능성.
④EU 정상, 팬데믹 대응과 백신전략 논의. 독일 집권당 대표 선출로 정국변화 본격화
▶21일 EU 정상회의 화상 개최. 코로나19 확산 방지, 백신 보급 등 팬데믹 대응 협력 외에 역내 백신 접종 발급증 도입 관련 논의 예정. 18~19일 유로존∙EU 재무장관회의에서는 역내 거시불균형, 유럽회복기금내 회복∙복원력강화계획, 은행 부실채권 대응, 美∙유럽 통화시스템 협력 등을 논의.
▶16일 독일 기민당 전당대회에서 앙겔라 메르켈을 이을 대표로 라셰트 노르트라인-베스트
팔렌주 총리가 선출. 9월 총선을 앞두고 연정인 기독사회당과의 힘겨루기 본격화할 전망.
⑤미국 상원 트럼프 탄핵재판 시작 여부. 중국 전인대 상무위회의 개최
▶지난주 미국 하원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가결한 가운데 금주 상원에 송부해 탄핵재판이 본격화 할지, 바이든 출범 초기를 감안해 송부를 지연시킬지 관심.
▶20~22일 중국 전인대 상무위원회회의 개최. 3월 양회 안건 외 방역대책, 금융법원 설치, 해상안전당국 권한 강화 등 논의할 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