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부터 금리인상...2024년 말까지 최소 세 차례"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사진=AP·연합뉴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사진=AP·연합뉴스]

금리에 민감한 단기 자금시장에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023년부터 금리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마켓워치는 17일(현지시간) 금리선물시장에서는 이미 2024년 말까지 미국 기준금리가 1% 넘는 수준까지 오를 것이라는 데 베팅하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0~0.25%다. 시장에서는 2023~2024년에 0.25%씩 최소 세 차례 이상의 금리인상이 단행될 것으로 보고 있는 셈이다. 마켓워치는 같은 기간 종전 전망치는 0.5%였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관측은 다음달과 2024년 12월에 각각 만기가 돌아오는 유로달러 선물 계약에 반영된 금리 차이를 반영한 것이다.

앞서 연준은 지난해 9월 통화정책회의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통해 발표한 금리전망으로 2023년까지 제로(0)금리를 유지할 것임을 시사했다. 금리선물시장에서는 금리인상 시기가 1년 앞당겨질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조기금리 인상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는 건 미국 경제 전망이 밝아졌기 때문이다. 조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하는 1조9000억달러 규모의 재정부양과 코로나19 백신 접종 확대에 따른 것이다.

연준이 섣불리 통화긴축 기조로 돌아서는 데 따른 역풍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조기 금리인상이 준비되지 않은 금융시장에 충격을 주는 것은 물론 아직 미약한 경제 회복세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것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성급한 긴축 회귀를 경계하고 있다. 그는 최근 일련의 연설을 통해 코로나19 팬데믹이 앗아간 일자리가 충분히 회복될 때까지 통화부양 기조를 고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달 FOMC 정례회의 뒤에 가진 회견에서 국채 등 시중 자산을 매입해 돈을 푸는 양적완화의 규모를 줄이는 것(테이퍼링)도 "시기상조"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테이퍼링에 나설 때가 되면 시장이 미리 알 수 있도록 많은 지침을 줄 것이라고 했다.

연준이 이날 공개한 지난달 FOMC 의사록에 따르면 회의 참석 위원 전원이 시장에서 경계하는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이라며, 장기적인 통화완화를 지지했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