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장보기 할 수 없는 계층 위해 영업 필요해"
코로나19 3차 대유행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격상이 검토되자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 유통업계가 초긴장 모드에 들어갔다. 3단계 거리두기에 돌입하면 면적 300㎡ 이상 소매 점포는 영업을 중단해야 되기 때문이다. 대형마트 업계는 영업의 필요성에 대해 정부에 건의한 상황으로 희망을 걸고 있는 상황이다.
14일 유통 업계에 따르면 거리두기 3단계가 시행되면 백화점 등 대규모 점포에 집합 금지 조치가 내려진다. 현재 수도권은 2.5단계, 수도권 이외 지역은 2단계를 실시하고 있어 밤 9시까지 영업이 가능하지만 3단계로 격상될 경우 아예 문을 닫아야 한다.
백화점·아울렛·복합쇼핑몰·대형마트 등은 연말 성수기 매출 확대는 고사하고 영업 자체를 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백화점 업계 관계자는 "아무리 온라인몰 위주로 소비 촉진 행사를 하고, 할인을 한다고 해도 오프라인 매장을 여는 것과 안 여는 건 매출 차이가 너무 크다"고 했다.
다만 대형마트는 3단계 적용했을 때 영업 중단 여부가 불확실한 상황이다. 면적으로 보면 대형유통시설이 맞지만 생활필수품을 다룬다는 점에서 필수 시설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마트·롯데마트·홈플러스 등이 회원사로 있는 한국체인스토어협회는 15일 정부에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SSM)은 필수 시설이기 때문에 영업 중단 대상 시설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건의서를 전달했다.
이에 업계에선 마트와 슈퍼마켓은 거리 두기 3단계가 돼도 문을 열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고 있다.
대형마트 관계자는 "고령자 등 온라인 장보기를 할 수 없는 계층도 있어 마트 문을 닫게 될 경우 큰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며 "정부가 현장 목소리를 반영한 결정을 내려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3단계 격상 기준은 전국 일주일 평균 확진자가 800~1000명 이상이거나 2.5단계 상황에서 더블링 등 급격한 환자 증가가 발생했을 때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지난 14일 "자체 추산 결과 하루 950명에서 1200명 사이 코로나 환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