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이어 이달 회의도 화상진행
양회 시기 촉각, 개최 방식 관심
중국의 명목상 최고 권력기관인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의 상무위원회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사상 처음 화상 회의 방식을 도입했다.
다음달 중 개최 가능성이 제기되는 양회(전인대·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때도 같은 방식이 적용될 지 관심이 쏠린다.
23일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웨중밍(岳仲明) 전인대 상무위 법제업무실 대변인은 오는 26~29일 베이징에서 열리는 전인대 상무위 회의가 화상으로 진행될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미 지난 2월 열렸던 상무위 회의도 화상 회의로 진행됐다는 게 뒤늦게 드러났다. 웨 대변인은 "지난 2월 24일 회의 때도 베이징에 있는 위원들은 직접 출석하고, 베이징 밖 위원은 화상으로 출석하는 식으로 진행된 바 있다"고 밝혔다.
그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혁신적인 방식을 통해 방역 요구를 충족하며 최고 권력기관의 상설 기구도 효율적으로 운영됐다"며 "이는 헌법·법률의 원칙과 정신에도 부합한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언급은 이달 말 회의가 화상으로 진행될 지 여부를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방역 당국이 여전히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요구하고 있는 만큼 2월 회의와 마찬가지로 화상으로 열릴 수 있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은 많이 잦아들었지만 수도 베이징은 방역의 고삐를 계속 죄고 있다. 중국 최대 정치 행사인 양회 개최를 위한 사전 정지 작업이라는 게 중론이다.
이번 전인대 상무위 회의에서는 코로나19 사태로 연기된 양회 개최 시기가 논의될 공산이 크다. 일각에서는 다음달 말께 열릴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을 내놓는다.
중국은 1분기 성장률이 -6.8%까지 추락하는 등 유례 없는 경제 위기를 맞았다. 경기 진작을 위한 대대적인 부양책 실시를 예고한 가운데 관련 예산안과 집행 일정을 확정하기 위해서는 양회 개최가 꼭 필요하다.
특히 전인대 상무위 회의가 화상으로 진행된 만큼 양회도 부분적으로 화상 회의 방식을 도입할 지 여부가 또 다른 관심사가 됐다.
관영 언론들은 중국의 인터넷 속도와 5G 기술력 등을 감안하면 수천명이 동시에 화상으로 회의를 진행하는데 기술적인 어려움은 없다는 점을 반복적으로 선전하는 중이다.
한 중국 소식통은 "양회 때는 지방의 주요 간부들이 베이징에 집합하기 때문에 감염 위험성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며 "필수 인원을 제외한 나머지는 화상으로 회의에 참석하는 방식도 충분히 논의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