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증시가 요동치면서 금과 국채에 투자자들이 대거 몰려들고 있다.
금값은 올해 들어 18%나 올라 활황장을 목전에 두고 있고 미국과 유럽 국채들에도 대거 사자 주문이 몰리면서 가격이 뛰었다.
가격과 반대로 움직이는 국채의 수익률(금리)은 금융위기 시절의 수준으로 떨어지고 있는 모습이다.
▲ 금값, 1년 만에 최고치
불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금 선물 4월물 가격은 11일 장중 5.8%가 오른 온스당 1263.90 달러까지 상승했으며 전날보다 4.5% 오른 1,247.80 달러에 마감했다. 종가 기준으로는 지난해 2월 이후 최고치이며 상승률로는 2009년 이후 최고치였다.
BMO 케피털 마켓의 원자재 거래부장인 타이 웡은 이날 금값이 1250달러를 돌파한 뒤 몇 분만에 1260달러로 움직였다"면서 "우버 택시 기사들이 오늘 밤에 금값을 놓고 얘기를 나눌 것"이라고 말했다.
금값은 올해 들어 18%나 올라 원자재 가운데 가장 좋은 실적을 보이고 있다. 금값이 1259.52달러에 이르면 상승률이 20%에 달해 활황장세의 기준을 충족한다.
이처럼 금값이 가파르게 오르는 것은 글로벌 증시 불안으로 리스크 회피 심리가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낮아진 것도 상승세의 배경이다.
세계 최대의 금 생산업체인 캐나다 배릭 골드의 주가는 2014년 9월 이후 최고치로 올랐고 금 상장지수펀드(ETF)에도 투자자들이 몰리고 있다.
금 ETF에는 7년만에 가장 빠른 속도로 자금이 밀려들고 있다. 이런 분위기 속에 뉴욕 증시에서 거래되는 골드 셰어 ETF의 주가는 올해 들어 13% 가량 상승해 상당수 종목의 주가가 부진한 것과 극명한 대조를 이뤘다.
세계금위원회(WGC)에 따르면 금 ETF들은 지난 1월 54톤의 금을 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룸버그의 데이터에 따르면 금 ETF들이 보유한 실물 금 보유량은 10일 현재 1571.3톤이며 올해 들어서는 7.5% 늘어났다.
금 ETF들은 지난해 133톤을 팔았고 2014년에는 이보다 더 많은 185톤을 팔아치운 바 있다.
WGC 인도 담당부장인 P.R. 소마순다람은 주식 불안, 성장률에 대한 우려가 안전자산으로서 금의 매력을 부각시키고 있고 중국과 인도의 소비자들이 더 많은 금을 사들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