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시장의 핵심 변수로 ‘입주물량’이 거론되는 가운데 2017년 7월부터 2018년 2월까지 월평균 3만8000여 가구가 집들이에 들어간다. 내년 하반기부터 입주소화불량에 따른 각종 부작용이 우려된다.

28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2017~2018년 전국적으로 78만여 가구의 아파트가 입주에 들어간다. 단기(2년) 물량으로는 1기신도시가 조성된 1990년대 이후 최대 물량이다.

그나마 내년 6월까진 3만 가구 이하로 유지되지만 7월부턴 입주가 본격화된다. 7월부터 2018년 2월까지 8개월간 월평균 3만8899가구의 새 아파트가 주인을 맞이한다. 2016년 월 평균 입주량이 2만4311가구라는 점에 비춰볼 때 1.6배 많은 수준이다.

특히 내년 12월은 4만9662가구의 입주가 예정,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0년 이래 월간 기준으로 가장 많다. 또 2017~2018년 중 4만 가구 이상 입주하는 달은 총 5번으로, 이 또한 역대급이다.

2017년 7월부터 8개월간 입주물량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도로, 총 12만5735가구가 계획돼 있다. 같은 기간 인천(2만904가구)과 서울(1만2723가구)도 1만 가구 이상 입주가 예정돼 총 15만9362가구가 수도권에 쏟아진다.

지방에서는 △경남(2만8212가구) △경북(2만141가구) △부산(1만7918가구) △충남(1만7799가구) △대구(1만2495가구) 등 영남권 위주로 1만 가구 이상의 입주가 준비 중이다.

이처럼 입주물량이 급증하면서 주택시장에도 충격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일반적으로 입주량이 단기적으로 크게 늘면 전세가격이 약세를 보인다. 2008년 사례를 보면 잠실에서 1만 가구 이상 입주가 이뤄지면서 1년 사이 전셋값이 18.29% 하락한 바 있다.

문제는 전세가 급락에 따른 역전세난이 발생하면 세입자들이 보증금을 제때 돌려받기가 힘들어진다는 점이다. 특히 요즘처럼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가 활발한 경우, 깡통전세에 따른 피해가 더 클 수밖에 없다.

서울은 상대적으로 입주량이 적지만 경기·인천에서 분양받은 수요자들의 상당수가 서울 전·월세 세입자임을 감안할 때, 영향이 없진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윤지해 부동산114 책임연구원은 “향후 2년간 특정 지역의 공급과잉 또는 수급불균형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라며 “주택시장 내 공급과잉 영향이 확대되지 않도록 정책금융뿐만 아니라 민간 중심의 입주자 전용 대출상품의 다양화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