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롯데백화점
사진=롯데백화점

롯데쇼핑의 올해 3분기 실적은 백화점 사업 부문은 호조를 보인 반면에, 대형마트·슈퍼 사업은 주춤했다. 최대 성수기인 올해 4분기에는 연말 특수를 노린 영업 및 상품기획(MD) 강화 전략으로 실적 반등을 꾀한다는 방침이다.

롯데쇼핑은 올해 3분기 영업이익 1305억원, 매출 3조4101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공시했다. 영업이익과 매출이 전년 동기대비 각각 15.8%, 4.4% 감소했다.

백화점 부문은 견조한 실적 개선세를 지속했고 해외사업에서도 꾸준한 성장을 기록했지만, 그로서리 사업(대형마트·슈퍼)에서의 어려운 영업환경 및 하이마트의 지난해 일회성 이익의 역기저 영향 등으로 연결 영업이익은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백화점 부문은 본점, 잠실점 등 대형점 중심으로 매출 호조를 보였다. 백화점 부문의 순매출과 영업이익은 7343억원, 영업이익 796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각각 0.7%, 9.0% 증가했다. 3개 분기 연속 영업이익 증가다.

특히 패션 매출이 호조를 보이면서 전체 실적을 견인했고, 외국인 관광객 증가 효과로 외국인 고객 매출도 크게 늘었다. 본점의 경우 3분기 외국인 매출이 전년 동기대비 39% 늘었고, 구성비도 19%까지 올랐다.

반면, 추석 명절 시점차와 소비쿠폰 사용처 제외 등 어려운 영업환경 영향을 받은 국내 그로서리 사업은 매출 1조3035억원, 영업이익 71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각각 8.8%, 85.1% 감소했다.

백화점과 마트의 해외 성장세는 뚜렷했다. 5개 분기 연속 영업이익 성장을 기록했다. 베트남의 롯데몰 웨스트레이크 하노이는 총매출이 28.6% 증가했고, 2023년 오픈 후 분기 최대 흑자를 달성하며 현지 사업을 이끌었다.

지난달 개점 2주년을 맞은 롯데몰 웨스트레이크 하노이는 누적 방문객이 하노이 인구의 3배에 달하는 2500만명을 넘어섰고, 누적 매출액 6000억원을 돌파했다.

이커머스(롯데온) 사업은 포트폴리오 조정 영향으로 매출이 감소했지만, 매출총이익율 개선과 운영 효율화로 영업손실을 절반 이하로 크게 줄였다. 이커머스는 최근 6개 분기 동안 매분기 적자를 축소해오고 있고, 꾸준히 영업이익 개선세를 유지 중이다.

자회사 롯데홈쇼핑은 이익 중심의 상품 포트폴리오 재정비 효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동시에 증가했고, 롯데하이마트는 지난해 발생한 대규모 일회성 요인을 제외하면 큰 폭의 영업이익 개선 효과를 거뒀다. 컬처웍스는 특화관 강화 효과와 해외사업 실적 개선으로 올들어 첫 분기 흑자를 기록했다.

롯데쇼핑 측은 올해 4분기 연말 성수기를 맞아 집객 및 영업활동에 집중해 실적 성장을 노리겠다고 전했다.

김현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