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금융사기예방 전담부서' 은행권 최초 신설
KB금융, 글로벌 수준의 '소비자보호 가치체계' 발표
저축은행중앙회, '사기 신고 계좌 안내 서비스' 도입
금융당국의 소비자보호 강화 요구가 지속되는 가운데 은행권이 실질적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 점검이 필요한 시점이다. 최근 우리금융그룹, KB금융그룹, 저축은행중앙회는 새로운 부서·체계·서비스를 통해 소비자보호 강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금융은 최근 임종룡 회장 주재로 '그룹 금융소비자보호 협의회'를 개최하고 소비자보호 거버넌스를 대폭 강화했다. 금융소비자보호 총괄책임자(CCO)의 임명을 이사회 결의 사항으로 격상하고 임기를 최소 2년 보장하기로 했다. 이는 책임성과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다.
특히 우리금융은 보이스피싱 등 민생 금융범죄 예방을 위한 '금융사기예방 전담부서'를 은행권 최초로 이달 내 신설하기로 했다. 이 부서는 금융사기 관련 기획과 정책, 금융사기 사전예방 및 대응, 이상금융거래탐지시스템(FDS) 고도화 등 3개 팀(21명)으로 구성된다. 인공지능(AI) 기반 이상거래 탐지 고도화를 신속히 추진할 예정이다.
임 회장은 이번 협의회에서 "금융소비자보호는 우리금융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최우선 가치"라며 "단순한 내부통제를 넘어 그룹의 궁극적인 경영 방향이자 목표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KB금융은 소비자 권익·책임·신뢰를 핵심으로 하는 '소비자보호 가치체계'를 발표했다. 이는 영국 금융감독청(FCA)의 '소비자 의무' 제도를 벤치마킹해 글로벌 수준에 맞춘 것으로, '소비자의 권익을 최우선 가치로 삼는 금융'이라는 원칙 아래 마련됐다.
KB금융은 금융상품 발굴·기획·판매·사후관리 등 전 과정에서 소비자보호를 최우선 기준으로 삼는 프로세스를 수립할 예정이다. 특히 고위험 투자상품에 대해서는 판매 한도 관리와 사후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핵심성과지표(KPI) 설계 시 단기 실적보다 소비자 이익을 우선 반영하기로 했다. AI 기반 피해 분석 모델을 개발하는 등 금융사기 예방을 위한 종합 대응체계도 강화할 방침이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사기 신고 계좌 안내 서비스'를 이달 중 저축은행 모바일앱 'SB톡톡플러스'에 도입할 예정이다. 금융사기 방지 서비스 전문 기업 '더치트'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사기로 신고된 계좌에 저축은행 계좌로 이체를 시도하면 '사기 신고 계좌'라는 경고 메시지가 팝업 형태로 뜬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사기 계좌로 이용됐거나 의심되는 계좌에 대한 데이터를 '더치트'와 공유함으로써 저축은행 고객들이 송금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피해 입는 것을 최소화할 계획"이라며 "중고 거래에서 금융사기가 다수 발생하고 있는데 이번 서비스는 고객들이 무심코 사기 계좌에 송금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고 말했다.
류지현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