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규제 강화 영향 본격화… 현금서비스·리볼빙 잔액도 동반 감소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정부의 강력한 가계대출 규제 정책의 영향으로 신용카드사의 카드론 잔액이 지난 6월에 이어 7월에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카드론을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산정에 포함하고 연 소득 100% 이내로 한도를 설정하는 등 규제를 강화한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20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9개 주요 카드사(삼성·신한·KB국민·현대·롯데·하나·우리·비씨·NH농협)의 올해 7월 말 기준 카드론 잔액은 약 42조4878억 원으로 전월 말(약 42조5147억원) 대비 269억원가량 줄어들었다.

이러한 감소세는 예견된 결과다. 금융당국은 가계부채의 뇌관으로 지목된 카드론을 억제하기 위해 다각도의 규제 방안을 시행해왔다. 특히 7월부터 적용된 3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안은 카드론을 기타대출로 분류하고 1.5%의 스트레스 금리를 부과하도록 해 대출 한도를 실질적으로 축소하는 효과를 낳았다.

카드사들은 강화된 규제와 리스크 관리 부담이 커지면서 카드론 취급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6월 말부터 도입된 가계대출 규제와 7월 DSR 3단계 적용으로 인해 카드사들의 리스크 관리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며, "하반기에도 카드론 취급을 공격적으로 확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며, 잔액 증가세는 계속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한편 대표적인 급전 창구로 꼽히는 현금서비스와 결제성 리볼빙 이월잔액 역시 감소세를 이어갔다.

7월 말 현금서비스 잔액은 6조2658억 원으로 6월 말(6조3113억원)보다 455억원 줄었다. 같은 기간 결제성 리볼빙 이월잔액 또한 6조8111억 원에서 6조7872억 원으로 239억원가량 감소했다.

최연성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