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후 수혜 기대감에 증권주 '초강세' 영향
한국거래소의 증권업 지수가 3000포인트를 돌파했다. 지난 2011년 2월 이후 14년 3개월 만이다. 증권주들이 장중 52주 신고가를 무더기로 기록하는 등 강세를 나타냈기 때문이다. 이는 20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가 진행되면서 대선 정책 수혜가 기대되고 있어서다. 증권주가 상승세를 보이면서 증권주를 기초자산으로 편입한 상장지수펀드(ETF) 역시 최고가를 경신했다.
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증권업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1.24%(316.66포인트) 오른 3134.44로 마감했다. 이는 2011년 2월 8일 기록한 3020.51 이후 14년 3개월 만이다.
이는 각 증권주들이 강세를 나타낸 영향 때문이다. 상상인증권은 전 거래일 대비 가격제한폭(29.98%)까지 오르며 685원에 거래를 마쳤고, 미래에셋증권은 23.21% 뛴 1만6560원으로 장을 마쳤다. 이날 미래에셋증권은 장중 1만7470원까지 오르며 52주 신고가를 경신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유진투자증권(16.58%), DB증권(10.12%), LS증권(10.05%), 대신증권(9.47%), 한국금융지주(9.06%), 한화투자증권(8.39%), NH투자증권(7.52%), 키움증권(6.86%), 삼성증권(5.60%) 등도 상승세로 거래를 종료했다.
증권주가 상승세를 나타내자 증권 관련 ETF도 동반 상승했다. 'KODEX 증권' ETF는 11.19%(1115원) 오른 1만1080원을 기록했다. 이는 52주 신고가다. 'TIGER 증권'도 8.71%(615원) 뛴 7675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해당 ETF도 장중 7710원으로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증권주가 상승세를 보이는 이유는 이날부터 진행된 사전투표가 사상 최고를 기록하며 열기를 나타내고 있고, 대선 주요 후보들이 내놓은 주식시장 활성화 공약 이행에 따른 수혜가 기대되기 때문이다. 특히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상법 개정안을 주요 공약으로 제시하면서 공약을 이행할 경우 시장 활성화가 예상된다. 이외에도 발행어음과 종합투자계좌(IMA) 인가를 통한 신사업 확대와 이에 따른 실적 개선 전망도 긍정적인 요인이다.
◇증권주 대선정책 대표적 수혜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대선 공약으로 상법 개정의 재추진을 약속한 바 있다. 이 후보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투명한 기업 지배구조로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옭아던 주식 시장에 '코스피 5000'이라는 새로운 희망을 실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앞서 지난달 21일에도 자신의 SNS에 "주주 이익 보호를 위한 상법 개정을 재추진하겠다"며 "불투명한 기업지배구조는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고질적인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이어 "소액주주를 대표하는 이사도 선임될 수 있도록 집중투표제를 활성화하겠다"며 "감사위원의 분리 선출도 단계적으로 확대해 경영 감시 기능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재명 후보를 필두로 민주당이 추진하고 있는 상법 개정안은 이사의 충실 의무 대상을 기존 '회사'에서 '주주 전체'로 확대하고 집중투표제를 활성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충실 의무 도입은 기업의 투명성이 높아지고,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기대할 수 있다. 이는 지수의 상승으로 이어지며 주식시장의 거래량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증권사 신사업도 날개
증권업의 강세는 신사업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도 이유 중 하나다. 현재 한국투자증권이 자기자본 약 9조원으로 국내 1호 종합투자계좌(IMA) 사업자 지정을 목표로 준비에 나섰고, 미래에셋증권 역시 자기자본 요건을 충족한 만큼 IMA 계좌 사업에 나설 예정이다.
이외에도 현재 한국투자증권과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이 영위 중인 발행어음 사업의 경우도 삼성증권과 메리츠증권, 하나증권, 키움증권 등도 진출을 준비 중이다.
백두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르면 연말 발행어음 및 IMA 신규 사업자가 등장할 예정"이라며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을 시점의 예상 연수익은 삼성증권이 1300억원, 키움증권 930억원"이라고 전망했다.
윤유동 NH투자증권 연구원도 "증권사가 신사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자손익은 각 사마다 이론적으로 연간 994억원~2974억원의 확보가 가능하다"며 "자기자본 규모가 클수록 레버리지를 일으키기에 유리하지만 실제 손익은 각 사의 운용전략에 따라 달라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양성모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