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 전체 시장 크게 앞서 올해 10% 이상 ↑…경기침체 속에서도 견고한 입지
넷플릭스 주식이 매도세라는 건 모른 채 혼자 질주하고 있다.
미국 뉴욕 주식시장의 주요 지수들이 올해 불안한 출발을 보인 가운데 넷플릭스는 강인한 흐름으로 전체 시장과 다른 대형 기술주들마저 압도했다.
올해 들어 넷플릭스 주가가 10% 넘게 상승한 반면 뉴욕 증시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8%, 엔비디아·메타·알파벳·마이크로소프트(MS)·테슬라·아마존·애플 등 빅테크 7개로 구성된 이른바 'M7'(magnificent seven·환상적인 7개 주식)은 무려 17%나 하락했다.
15일(현지시간)에도 넷플릭스는 시장 지배력을 이어갔다.
오는 2030년까지 매출을 배로 늘리고 시가총액은 현재 4200억달러(약 600조9000억원)에서 1조달러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라는 경영진의 발표가 나오자 주가는 한때 6% 급등했다.
그러나 이런 수치만으로는 넷플릭스의 성과를 다 설명할 수 없다.
넷플릭스의 탁월한 성과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반복된 경기침체 경고 속에서도 주가가 얼마나 잘 버텨왔는지 장기적으로 살펴봐야 한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15일 공개한 리서치 노트에서 넷플릭스의 경기침체 회피 성격을 강조했다. 그리고 넷플릭스 주식에 대한 '매수' 의견을 재확인했다.
BofA는 넷플릭스의 12개월 목표주가를 1175달러로 제시하기도 했다. 이는 14일 종가 대비 26%의 상승 여력이 있다는 뜻이다.
제시카 라이프 에를리히 수석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애널리스트가 이끄는 BofA의 애널리스트팀은 "시장 변동성 속에서도 중요한 엔터테인먼트를 기반으로 한 넷플릭스의 강력한 구독 모델이 전통적으로 경기침체 시기에 좋은 실적을 보여줬다"며 "이는 투자자들에게 방어적인 선택지로 작용하면서 다른 기술주나 M7보다 뛰어난 성과를 이끌어냈다"고 평가했다.
투자자문사 버투스인베스트먼트 파트너스의 조 테라노바 수석 시장 전략가 역시 넷플릭스를 ‘경기침체에 강한 주식’으로 인정했다.
그는 15일 경제 전문 매체 CNBC에 출연해 "경기침체 상황 아래 소비자들이 밖에 나가 여가활동을 하기보다 집에서 넷플릭스로 즐기는 방식을 택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BofA에 따르면 넷플릭스는 글로벌 시장에서 가입자 증가, 구독료 인상, 광고 성장 등으로 장기적 성장 여력이 충분하다.
BofA의 애널리스트팀은 노트에서 "넷플릭스가 여전히 글로벌 시장 확장으로 큰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며 "넷플릭스가 계속 강력하게 가입자 증가를 이뤄낼 수 있다고 판단되는 한 투자자들은 앞으로 몇 년 동안 넷플릭스의 성장 가능성에 대해 자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썼다.
이진수 선임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