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종로구 고려아연 본사. / 사진=연합뉴스
서울 종로구 고려아연 본사. / 사진=연합뉴스

글로벌 의결권 자문사 글래스루이스가 고려아연 임시 주주총회 핵심 안건인 집중투표제 도입 정관변경 안건에 찬성을 권고했다. 고려아연 측이 제시한 19명의 이사수 상한 제한에도 찬성 의견을 냈다. 신규 이사 후보는 고려아연 측 4인에 대해서만 찬성한다고 밝혔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글래스루이스는 이날 기관투자자에게 오는 23일 고려아연 임시주총에서 의결권 행사 방향을 담은 의안 분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글래스루이스는 집중투표제 찬성 이유에 대해 "일반적으로 집중투표제는 소수주주들이 원하는 후보를 이사회에 진출시킬 수 있도록 보장함으로써 주주들을 위한 안전장치로 기능한다"며 "집중투표제로 이사회 대표성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주주 대표성과 책임성을 강화하는 이점이 더 크다"고 설명했다.

MBK·영풍 측에서 주장하는 고려아연 이사회 개편 필요성에 대해선 "현재로서 MBK·영풍이 요구하는 실질적인 이사회 개편을 지지할 근거가 불충분하다"며 "지난 몇 년간 고려아연의 재무·경영 성과는 최 회장의 리더십을 비롯해 동종 업계 대비 상당히 양호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이사 수 상한에 대해선 "모든 이사의 의미 있는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 이사회 구성원이 20명을 넘지 않도록 권장하고 있다"며 "정원 제한이 없다면 이번 주주총회 이후 고려아연 이사회는 최대 33명까지 확대될 수 있으며 이는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저해할 수 있는 규모"라며 설명했다.

신규 이사 후보에 대해선 고려아연이 추천한 이상훈 전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 한국 대표, 제임스 앤드류 머피 올리버와이먼 선임 고문, 정다미 명지대 경영대학장, 최재식 카이스트 교수 등 4명에게만 찬성 의견을 냈다.

앞서 글로벌 의결권 자문사 ISS는 △집중투표제 도입 반대 △MBK·영풍 후보 14인 중 4인 찬성 △이사 수 상한 제한 찬성 등의 내용을 담은 의안 분석 보고서를 낸 바 있다. 반면 국내 3대 의결권 자문사 서스틴베스트는 집중투표제 도입과 이사 수 상한 제한 등에 찬성했다.

박성대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