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소메라로드·마스턴아메리카와 3자 MOU
자체 개발 '시티허브 빌딩' 플랫폼 활용

(가운데) 최문근 LG CNS 전무가 (오른쪽)이안 로스 소메라로드 최고경영자(CEO), 오진석 마스턴아메리카 대표이사와 MOU 체결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LG CNS
(가운데) 최문근 LG CNS 전무가 (오른쪽)이안 로스 소메라로드 최고경영자(CEO), 오진석 마스턴아메리카 대표이사와 MOU 체결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LG CNS

LG CNS는 미국 부동산 전문 운용사인 '소메라로드'와 국내 마스턴투자운용의 미국 법인 '마스턴아메리카'와 미국 내 건물 디지털전환(DX) 적용 관련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소메라로드는 부동산 투자·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회사로 미국 전역에서 호텔·물류센터·산업단지 등 부동산을 개발·운용하고 있다. 마스턴아메리카는 다양한 부동산 영역에 대한 투자·개발·운용 전문성을 보유한 회사다.

3사는 이번 MOU를 통해 미국 미주리주 캔자스시티·테네시주 내슈빌 등에 있는 △스마트 호텔·리조트 △스마트 멀티패밀리(다세대 임대주택) △스마트 상업용 빌딩 등에 DX 기술을 접목하는 스마트 부동산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LG CNS는 소메라로드와 마스턴아메리카의 미국 부동산 개발 사업 내 DX기술 관련 전반을 맡는다. 먼저 LG CNS는 호텔·리조트·멀티패밀리·오피스 등에 '시티허브 빌딩' 플랫폼을 적용해 스마트빌딩을 구현한다. 시티허브 빌딩은 LG CNS가 자체 개발한 빌딩 통합운영 플랫폼으로 빌딩·공장 같은 대형 건물의 △데이터 수집 △설비 관리·제어 △에너지 관리 등을 한 번에 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LG CNS는 스마트빌딩의 근무자·방문자·관리자들을 위한 DX서비스도 제공한다. 대표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모바일 출입증·사원증을 도입해 기존 플라스틱 카드 형태의 사원증을 대체한다. 빌딩 내 사무실·회의실·편의 시설 등을 출입할 때 필요한 신원증명을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인증할 수 있고 식당·카페 등에서의 결제뿐만 아니라 복사기 사용, 통근버스 탑승 등도 한 번에 이용이 가능하다. 

LG CNS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를 관리하는 콘텐츠운영시스템(CMS)도 제공한다. CMS는 대형 빌딩 내 설치된 여러 형태의 '사이니지'(Signage)에 콘텐츠를 동시 전송·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이 외에 옥외 공간에서 도시 데이터 수집을 통해 스마트시티 구현을 돕는 스마트 폴도 제공할 계획이다. 스마트 폴은 기존 가로등에 인공지능(AI) CCTV, 사물의인터넷(IoT)센서 등을 더한 지능형 가로등이다. 

최문근 LG CNS 전무는 "미국 시장에서 스마트빌딩 수요가 커짐에 따라 스마트빌딩 DX사업을 캔자스시티·내슈빌에서 시작해 뉴욕 등 미국 전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라며 "나아가 스마트시티 사업으로 영역을 넓혀 미국 고객들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근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