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증권은 4일 농심에 대해 "글로벌 수요 대응을 위해 신규 투자를 결정했다"고 분석했다.
심은주 연구원은 "지난주 농심은 교환사채 발행을 공시했는데 자사주 30만주(발행주 대비 4.93%)를 기초자산으로 한 발행으로 '수출용 생산설비 투자를 위한 자금 마련'이 목적"이라며 "희석 규모가 크지 않고 글로벌 매출 확대를 위한 시설 투자인 만큼 중장기 기업가치 제고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심 연구원은 "신공장은 기존 부산 녹산공장 옆 유휴부지에 약 1만5500평 규모로 건설되는데 총 투자금액은 1918억원이며 필요자금의 약 70%를 이번 교환사채 발행으로 조달할 계획"이라며 "2026년 상반기 완공 예정이며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생산에 들어가면 완공 이후 농심의 연간 수출 생산능력(Capa)는 기존 5억개에서 10억개로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심 연구원은 "신공장 설립 이후 글로벌 공략은 더욱 적극 추진될 것"이라며 "특히 최근 급증하고 있는 유럽시장 수요 대응이 수월해질 것으로 기대되며 언론 보도에 따르면 오세아니아, 아프리카로의 수출 확대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그는 "중단기적으로는 여유있는 북미 생산능력을 앞세워 남미로의 침투가 가속화될 것"이라며 "남미는 북미보다도 큰 시장으로, 멕시코를 시작으로 남미 커버리지가 확대되면서 미주 법인 매출도 하반기 성장세로 전환될 전망"이라고 전했다.
북미도 하반기 신제품 출시를 통해 성장을 도모할 것으로 봤다.
김현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