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산업용 로봇과 5G 특화망 기반…맞춤형 물류 솔루션 제시

LG전자가 최근 美 애틀랜타(Atlanta)에서 열린 물류 전시회 '모덱스 2024'에 참가해 산업용 로봇 라인업을 선보였다. 물류 로봇 플랫폼인 'Flex-RPS'는 이동 및 설치가 간편해 스마트팩토리 내 다양한 작업 환경에 맞춰 임무를 수행한다. 사진은 LG전자 직원이 'Flex-RPS'를 시연하는 모습. /사진=LG전자
LG전자가 최근 美 애틀랜타(Atlanta)에서 열린 물류 전시회 '모덱스 2024'에 참가해 산업용 로봇 라인업을 선보였다. 물류 로봇 플랫폼인 'Flex-RPS'는 이동 및 설치가 간편해 스마트팩토리 내 다양한 작업 환경에 맞춰 임무를 수행한다. 사진은 LG전자 직원이 'Flex-RPS'를 시연하는 모습. /사진=LG전자

LG전자가 물품 픽업부터 검사, 배송까지 물류 전 과정을 아우르는 통합물류(Fulfillment) 서비스 분야와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산업용 로봇 라인업을 대거 선보였다.

LG전자는 최근 美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열린 북미 최대 규모의 물류 전시회 '모덱스(MODEX) 2024'에 참가했다고 15일 밝혔다. LG전자가 물류 전시회에 단독 부스를 꾸민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LG전자는 이번 전시에서 초고속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물류 시스템과 연동된 오더피킹(Order Picking) 로봇 △차별화된 로봇 관제 시스템 △스마트팩토리 내 물류 자동화 솔루션 등을 소개했다.

LG전자는 자율주행을 기반으로 대량의 물품을 목적지로 운반하는 데 특화된 AI 물류 로봇인 'LG 클로이 캐리봇(CLOi CarryBot)' 2종을 선보였다. 물품을 구분해 나눠 담는 적재형, 본체 뒤에 대량의 물품을 싣고 운반하는 롤테이너형이다.

LG 클로이 캐리봇은 최대 1.2m/s의 빠른 속도로 넓은 물류 현장에서 신속하게 물품을 운반하면서도 평균 주행·커브 속도, 가감속 조절 등 물류환경에 최적화된 독자 주행 기술 'Fast-X'를 적용해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다.

물류 로봇은 넓고 복잡한 공간에서 수십 대 이상이 동시에 움직인다. 이를 제어하기 위해 △AI 기반의 자율주행 △로봇 간 상호작용을 위한 5세대(5G) 이상의 초고속 통신 기술 △주변 정보를 수집하는 빅데이터 처리 등 고도화된 관제 기술력이 중요하다.

LG전자가 최근 美 애틀랜타(Atlanta)에서 열린 물류 전시회 '모덱스 2024'에 참가해 산업용 로봇 라인업을 선보였다. 'LG 클로이 캐리봇'은 자율주행을 기반으로 대량의 물품을 목적지로 운반하는 데 특화된 AI 물류 로봇이다. 사진은 LG전자 직원이 'LG 클로이 캐리봇'을 시연하는 모습. /사진=LG전자
LG전자가 최근 美 애틀랜타(Atlanta)에서 열린 물류 전시회 '모덱스 2024'에 참가해 산업용 로봇 라인업을 선보였다. 'LG 클로이 캐리봇'은 자율주행을 기반으로 대량의 물품을 목적지로 운반하는 데 특화된 AI 물류 로봇이다. 사진은 LG전자 직원이 'LG 클로이 캐리봇'을 시연하는 모습. /사진=LG전자

LG 클로이 캐리봇은 고객사의 WMS(Warehouse Management System, 창고 관리 시스템)와 연동해 주문 정보를 받아 로봇별 동선을 고려한 효율적인 업무 분배가 가능하다. 또 AI를 기반으로 다수의 로봇에게 최적의 주행 경로 분석과 제공은 물론, 관제 시스템(LG CLOi Station)을 통해 위치 확인 및 원격 호출, 운영 현황 조회 등이 가능하다.

조주완 CEO는 AI를 '공감지능(Affectionate Intelligence)'으로 재정의하고 차별화된 특징 중 하나인 '연결된 기기들을 효과적으로 조율 및 최적화한다'는 의미에서 '조율·지휘지능(Orchestrated Intelligence)'이라 규정한 바 있다.

스마트팩토리의 생산성과 품질을 높이는 산업용 로봇 3종도 선보였다.

LG전자는 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 핵심 기술력을 기반으로 쌓아 온 스마트팩토리 구축 노하우의 사업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팩토리는 제품의 기획부터 설계, 생산, 판매 등에 이르는 전체 과정을 통합하고 자동화, 디지털 정보화를 구현하는 지능형 생산공장을 의미한다.

LG전자가 최근 美 애틀랜타(Atlanta)에서 열린 물류 전시회 '모덱스 2024'에 참가해 산업용 로봇 라인업을 선보였다. '저상형 AMR'은 최대 500kg의 중량을 적재해 목적지까지 스스로 이동하는 자율주행 운송로봇이다. 사진은 LG전자 직원이 '저상형 AMR'을 시연하는 모습. /사진=LG전자
LG전자가 최근 美 애틀랜타(Atlanta)에서 열린 물류 전시회 '모덱스 2024'에 참가해 산업용 로봇 라인업을 선보였다. '저상형 AMR'은 최대 500kg의 중량을 적재해 목적지까지 스스로 이동하는 자율주행 운송로봇이다. 사진은 LG전자 직원이 '저상형 AMR'을 시연하는 모습. /사진=LG전자

'모바일 매니퓰레이터(Mobile Manipulator)'는 자율 주행을 기반으로 인간의 팔과 유사한 동작을 수행하는 수직다관절로봇이다. 일반적으로 로봇이 하나의 업무를 반복 수행하는 것과 달리, 생산라인 등을 스스로 이동하며 부품운반∙제품조립∙검사 등 공정별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한다.

물류 로봇 플랫폼인 'Flex-RPS(Robotic Production System)'는 이동 및 설치가 간편해 스마트팩토리 내 다양한 작업 환경에 맞춰 임무를 수행한다. 자동 위치보정 기술로 재설치 및 준비 시간을 기존 대비 1/10가량 단축했다. 또 복잡한 준비 과정 없이 사전에 입력된 동작을 간편하게 이용하는 플러그앤플레이(Plug & Play) 기능을 탑재해 사용도 편리하다.

최대 500kg의 중량을 적재해 목적지까지 스스로 이동하는 자율주행 운송로봇 '저상형 AMR(Autonomous Mobile Robot)'은 생산 효율은 높이고 작업은 안전하게 돕는 산업용 물류 로봇이다.

이밖에도 물류 거점 및 스마트팩토리의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5G 특화망(Private 5G) 기술 기반의 솔루션을 함께 선보였다.

5G 특화망은 빠른 전송 속도와 낮은 지연 시간을 기반으로 동시에 움직이는 수십 대의 물류 로봇 간 최적화된 동선 설정은 물론, 신속한 제어를 통해 안전사고 방지도 돕는다.

건물 내 음영 지역을 최소화하는 안정적인 통신 연결을 기반으로 현장의 실시간 정보를 신속하게 공유할 수 있고 복잡한 케이블 연결이 필요 없어 간편한 설치 및 유지 보수에도 용이하다. 또 전용 게이트웨이(Gateway)를 통해 허가받은 기기만 접속할 수 있어 보안성도 뛰어나다. 

박성대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