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1조원 육박

대우조선해양,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등 대형 조선 3사가 발행한 회사채 가운데 2조원어치 이상이 내년 중 만기가 돌아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이 내년 중 상환해야 하는 회사채는 총 9400억원에 이른다. 올 9월이 만기인 기업어음(CP) 400억원어치를 합치면 내년까지 갚아야 할 회사채는 1조원에 육박한다. 이는 대우조선해양 전체 회사채 잔액(1조3500억원)의 70% 수준이다.

삼성중공업과 현대중공업이 내년 상환해야 할 회사채도 각각 6000억원, 6800억원 규모다.

이들 조선 3사가 내년 중 갚아야 할 회사채를 모두 합하면 2조2000억원을 넘는다.

채권시장에서는 유동성이 충분치 않은 데다가 신용등급도 좋지 않은 조선 3사가 2조원대 채권을 현금 상환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대우조선해양은 작년 말 기준 현금성 자산이 1380억원에 불과해 현금 상환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삼성중공업과 현대중공업은 재무상황과 신용등급(A+)이 대우조선해양보다 그나마 나은 상황이지만 회사채 재발행을 통한 상환(차환)을 자신할 수 없다. A급 회사채 시장에서도 재무상황이 좋은 회사 위주로만 차환에 성공하는 양극화 현상이 뚜렷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조선 3사의 신용등급 하향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한국기업평가는 "최근의 조선산업 수주환경은 수주절벽으로 표현될 만큼 당초 예상을 뛰어넘는 최악으로 치닫고 있는 양상"이라며 이들 조선사의 구조적 리스크가 확대되는 점을 고려해 등급 하향을 재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올 들어 4월까지 조선 3사가 수주한 선박은 5척에 불과하고, 실적 개선도 시원찮은 수준이다.

현대중공업은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으로 3252억원, 삼성중공업은 61억원의 흑자를 내는 데 그쳤다.

대우조선해양은 1분기 연결기준 263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현대중공업은 본업인 조선 부문이 아니라 정유 부문 실적이 개선되면서 흑자를 기록했다. 조선업 실적은 여전히 부진하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조선 3사는 최근 수주 실적이 없고 앞으로도 이익을 낼 여력이 많지 않다"며 "내년과 내후년에 더 문제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시장에선 보고 있다"고 말했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