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금리 부담에 카드론 수수료 올리고 리볼빙 잔액 줄여
"부실차주 감안해 고신용자 중심으로 대출 내주는 상황"

카드사들이 발행하는 채권금리가 오른데다 리볼빙규제까지 따르면서 저신용자 대출을 줄여나갈 전망이다. / 사진=연합뉴스
카드사들이 발행하는 채권금리가 오른데다 리볼빙규제까지 따르면서 저신용자 대출을 줄여나갈 전망이다. / 사진=연합뉴스

최근 카드사들이 채권금리 인상 여파와 리볼빙 규제 등 부담 요인이 겹치면서 몸을 사리고 있다. 급전이 필요한 저신용자들은 카드사에서 돈 구하기가 어려워질 전망이다.

4일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7개 전업카드사의 카드론 잔액은 34조888억원으로 전월 대비 5339억원 줄었다. 같은달 카드론 금리는 9개월 만에 0.35%포인트 올랐다.

지난 6월까지 15개월 연속 증가세였던 카드론 잔액이 감소세로 방향을 튼 것은 카드사가 발행하는 여신전문금융회사채(여전채) 발생금리가 빠르게 치솟은 데 따른 결과다.

여전채 AA+ 3년물 금리는 지난 3월 연 3%, 6월 연 4%대에서 9월 5%대, 지난달 21일 기준 6.092%를 기록했다. 채권을 발행해 자금을 조달하는 카드사들은 가파른 금리에 카드론 금리를 불가피하게 인상하게 됐다.

여기에 지난 8월부터 금융당국은 리볼빙의 불완전판매 개선을 명목으로 수수료 공시 주기를 기존의 '분기별'에서 '월 단위'로 바꾸고 TM(텔레마케팅)도 금지했다.

이달부터는 리볼빙 설명서에 카드사의 금융상품, 서비스 중 리볼빙을 대체할 수 있는 서비스를 안내해야 한다. 여신업계 관계자는 "8월 제도 도입 이후 리볼빙 이용자들의 평균 금리가 인하되는 등 차주의 체질 개선이 일어났다"며 "무분별한 리볼빙을 걸러내고 있어 잔액도 줄어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조달하는 채권의 금리는 오르고 리볼빙으로 얻는 수익까지 줄면서 빠듯해진 카드사들은 결국 고신용자 위주로 대출 시장을 관리해야 하는 입장이다.

법정 최고금리는 20%까지만 받을 수 있다. 만약 카드대출 이용자가 연체이자라도 발생했다면 3%포인트를 제하면서 사실상 연 17% 수수료를 낼 수 있는 차주까지만 대출을 내줄 수 있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어려운 여건에서는 부실 가능성을 감안해 고신용자를 중심으로 대출을 실행해야하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김자혜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