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수요자 10명 중 7명이 내년 아파트값이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내 집을 마련할 적기로 주택 실수요자들은 내년 1분기와 2018년 이후를 꼽았다.

부동산 포털 닥터아파트는 지난 1∼6일 만 20세 이상 회원 1179명을 대상으로 2016년 주택시장 전망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응답자의 29.9%가 주택 구입 최적기로 2018년 이후를 꼽은 것으로 집계됐다.

응답자의 23.2%는 내년 1분기를 내 집 마련 적기라고 답했다. △13.2%는 2017년 △11.7%는 내년 2분기 △11.6%는 내년 4분기 △10.3%는 내년 3분기라고 응답했다.

주택 수요자 중 67.1%는 내년 아파트값이 상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락할 것이라는 응답(32.9%)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응답자의 25.1%는 아파트 매매가가 올해보다 3%대 이상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16.1%는 아파트 매매가가 올해보다 2% 이상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13.9%는 1%대, 12%는 1% 미만의 상승률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 미분양 물량이 가장 많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는 지역(3곳 복수응답)으로는 용인(47.6%)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파주(35.7%), 대구(30.2%) 순으로 나타났다.

주택시장에 미칠 가장 큰 변수로는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국내 금리 인상이라는 답변이 27.5%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주택 공급과잉(22.2%) △주택담보대출 규제(20.6%) △중도금 집단대출 규제(10.3%) 순이었다.

내년에 투자할 만한 주택 상품을 물으니 분양 아파트라는 응답자가 27.5%로 가장 많았다. △기존 아파트(22.9%) △재건축(18.4%) △재개발(10.4%) 등이 뒤를 이었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