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산.한양.호반 등 건설사와 유통사 군침..땅값 비싸 사업성 검토

서울 서남부의 옛 영등포교도소 부지가 매각에 실패했다. 입찰에 관심을 갖는 건설·유통업계가 입찰금액을 두고 아직은 신중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5일 LH(한국토지주택공사)와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지난주 LH가 진행한 서울남부교정시설부지 매각 입찰은 1~2순위 모두 참가기업이 없어 유찰됐다.

정부가 신도시 개발을 당분간 중단하기로 함에 따라 택지 확보가 현안인 현대산업개발, 한양, 호반건설, 대방건설 등 건설사들은 현장설명회에 참석하며 관심을 보였다.

건설사 외에 이마트, 코스트코 등 유통기업들도 이 부지에 눈길을 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복합개발용지에 상업시설을 입점시키기 위한 유통기업간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번 입찰에서는 눈치싸움이 벌어지며 입찰이 성사되지 못했다. 비싼 땅값과 까다로운 인허가 조건 때문에 건설사들이 입찰에 선뜻 참여하지 못했다는 전언이다.

우선 땅값의 경우 감정평가를 거치지 않다보니 기업들이 추정하는 시세와 차이가 있었다는 지적이다. LH는 옛 영등포교도소를 천왕동으로 이전해주고 이전적지를 개발하는 기부대 양여 형태로 사업을 진행했다. 새로 이전한 교도소를 건설하는 비용이 5252억원인 점을 감안해 별도 감정평가 없이 5252억원으로 땅값을 책정했다.

또 인허가 면에서도 변수가 많다는 설명이다. 해당 부지의 지구단위계획이 정해져있는데다 도로, 공원, 공공청사부지, 임대산업시설부지 등의 기반시설을 기부채납해야 한다. 여기에 국공유지 10필지와 사유지 7필지를 추가로 매입해야 사업추진이 가능하다.

업계 관계자는 "땅값이 5000억원 이하로 내려가야 사업성이 있을 것으로 보이고 인허가도 현재로서는 변수가 많아 입찰 참여 여부를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LH는 이달 중 재입찰공고를 낼 계획이다.

한편, 서울남부교정시설 부지는 옛 영등포교도소 부지로 서울 서남부에 남은 유일한 대규모 땅이다. 총 면적 10만707㎡에서 공동주택 부지가 2만8352㎡, 복합개발 부지가 4만5887㎡다. 복합개발부지는 연면적 20% 이상을 회의장과 전시장, 공연장, 백화점, 일반업무시설, 의료시설 등의 전략유치시설로 짓고 나머지를 주거 및 기타용도로 개발할 수 있다.

위치상으로는 서부간선도로, 오류IC, 서해안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 등이 인접해 있어 서울시의 남서관문 역할을 한다. 최근 고척 돔구장이 완공됐고,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인프라 설치가 진행중이다. 지하철 1·2·7호선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