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집단대출에 대한 건전성 검사에 나섰다. 집단대출은 신규 아파트를 분양할 때 시공사 보증으로 계약자에 대한 개별심사 없이 중도금 및 잔금을 분양가의 60~70%까지 대출해주는 것을 말한다. 총부채상환비율(DTI) 적용을 받지 않고 시공사와 은행이 직접 협상하기 때문에 대출 금리가 상대적으로 싼 편이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과 한국은행은 지난달 대구, 부산, 전북, 광주, 제주은행 등 지방은행을 대상으로 주택담보대출 검사를 실시한 이후 지난달 28일부터 우리은행과 농협은행의 집단대출 부분검사에 들어갔다. 금융감독원은 이들 은행에 대한 검사를 마치면 다른 시중은행과 일부 지방은행으로 집단대출 관련 검사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 신한, 우리, KEB하나 등 4대 시중은행의 집단대출 잔액은 9월 말 기준 72조8000억원이다. 한 달 새 1조6000억원 증가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최근 주택 시황 호조로 건설사들의 과거 밀어내기식 분양이 재현되는 듯한 조짐이 있다"라며 "대출은행은 물론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대출 취급단계부터 문제점이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건설사들은 지난 2007년 분양가상한제 시행을 앞두고 밀어내기식 분양을 한 경험이 있다. 금융위기 이후 계약자들은 주택가격이 하락하자 분양가격 조정을 요구하며 입주를 거부하는 등 분쟁이 있었다. 이 여파로 2013년 2월 집단대출 연체율이 1.98%까지 오르기도 했다.

한편 한국개발연구원의 '3·4분기 부동산시장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전국의 아파트 신규 분양 물량은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평균치 27만 가구의 두 배 수준이 49만 가구로 조사됐다. 올 4·4분기에만 신규 분양물량은 16만4000 가구에 달할 전망이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