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전날 포용금융 점검회의…은행·인터넷은행·보증기관까지 실행력 강화
정부와 금융권이 포용금융 정책 이행을 본격적으로 가속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18일 KB·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금융지주와 은행연합회, SGI서울보증을 불러 '포용금융 소통·점검회의'를 개최하고 각 기관의 지원 현황과 향후 계획을 점검했다. 취약계층의 금융 접근성을 확대하겠다는 정부 기조에 따라 은행권도 서민금융대출, 금리우대, 채무지원 프로그램 등 포용금융 실행 작업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금융위는 회의에서 "취약계층의 금융 이용 여건을 개선하고 대출이자 부담을 덜어주는 방향으로 금융권의 역할이 더욱 강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5대 금융지주는 지난달부터 잇따라 생산적금융·포용금융 공급 계획을 내놓으며 향후 5년간 총 508조원을 투입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중 포용금융은 약 70조원 규모로 KB금융 17조원, 신한금융 12~17조원, 하나금융 16조원, 우리금융 7조원, NH농협금융 15조원으로 분배돼 있다.
은행권의 개별 실행 사례도 이어지고 있다. 케이뱅크는 이날 생계형 적합업종 소상공인을 위한 '생계형 적합업종 보증서대출'을 출시했다. 신용보증재단중앙회와 협력해 두부·간장 제조업, 서적·신문 소매업 등 보호업종 소상공인의 금융 부담을 덜어주는 상품으로 최대 5000만원 한도·연 4.80% 금리로 전국 지역신보 또는 케이뱅크 앱에서 신청할 수 있다. 케이뱅크와 NH농협은행은 신보중앙회에 24억원을 특별출연하며 총 300억원 규모의 보증부 대출 공급에 나선다.
전통은행들도 포용금융 실적을 확대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올해 3분기까지 새희망홀씨대출을 5588억원 공급하며 시중은행 중 유일하게 5000억원을 돌파했다. 우리금융은 지난달 '미래동반성장 프로젝트'를 통해 포용금융 7조원을 포함한 총 80조원 공급 계획을 내놓았다. NH농협은행 역시 '금융의 날' 표창을 수상하며 서민금융 접근성 개선 공로를 인정받았다.
KB금융과 신한금융도 5년간 각각 110조원 규모의 생산적·포용금융 공급 계획을 발표했다. KB금융은 포용금융 17조원을 서민·취약계층 지원 프로그램에 배정했으며 신한금융도 12~17조원을 소상공인·저신용 차주 지원에 투입한다. 하나금융은 취약계층 어르신 복지 지원 활동을 이어가며 고령층 중심 포용금융 사례도 강화하고 있다.
포용금융 실행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금융권은 제도 개선 필요성도 함께 제기했다. 저신용자 대출 확대에 따른 대손충당금 부담, 대안신용평가(ACS) 활용 여건 등 리스크 관리 요소가 실무 과제로 떠오른 것이다.
금융위는 "금융권이 취약계층의 금융 이용 환경을 지속 개선하고 금융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을 이어가야 한다"며 "각 금융그룹의 준비 상황과 실행 일정을 면밀히 살필 것"이라고 전했다.
최연성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