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값' 올라도 제과점·카페 수익성은 악화…임대료·재료비 등 비용 부담 확대
판매량 1~2위인 소금빵과 샌드위치 가격이 3년 새 30%대 오르고 베이글은 무려 44%나 뛰면서 '빵플레이션'(빵값 상승)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9일 한국신용데이터(KCD)의 '베이커리 시장 트렌드 리포트'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월평균 판매 비중이 가장 높은 빵은 소금빵(15.7%)이었다.
샌드위치(15.0%)가 2위였고, 식빵(7.2%), 크루아상(5.3%), 베이글(5.2%) 등이 뒤를 이었다.
KCD가 올해 상반기 가장 많이 팔린 빵 10종류의 중위가격 추이를 분석한 결과 베이글 가격이 가장 많이 올랐다.
베이글은 6월 말 기준 중위 가격이 4400원∼4900원으로, 3년 전인 2022년 6월에 비해 44%나 뛰었다.
샌드위치(7500원∼8300원·32%)와 소금빵(3300원∼3700원·30%)도 30%대 증가율을 기록했다.
빵 종류별 월평균 중위가격은 각 빵 메뉴별로 사업장에서 책정한 판매 금액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가운데에 위치하는 가격을 뜻한다.
KCD에 따르면 소금빵은 2022년 하반기만 해도 2000원∼2500원대를 책정한 매장이 많았으나, 이후 가격이 꾸준히 오르면서 현재는 3000원∼3500원대가 대세로 자리잡았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8월 빵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6.5% 상승했다.
2022년 6월과 비교하면 19.4% 뛰었다. 베이글, 샌드위치, 소금빵 가격은 이 기간 평균 빵값보다 배 이상 많이 뛴 셈이다.
빵값은 올랐지만 제과점과 카페 업종의 수익성은 점차 악화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KCD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베이커리·제과점' 업종의 월 평균 매출은 약 907만원이다. 최근 2년간 매출 감소세를 이어가다가 적자로 전환했다.
매출액보다 임대료·재료비·인건비 등 비용이 더 많았다는 뜻이다.
'다방·커피숍·카페' 업종의 월 평균 매출액은 약 724만원으로, 매출과 비용 증감 폭이 크지는 않지만, 순이익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다.
유명 경제 유튜버 '슈카'가 지난 8월 빵플레이션에 대응하겠다며 소금빵과 베이글 등을 990원에 팔다가 약 일주일 만에 판매를 중단하는 일도 있었다.
자영업자들이 "기존 빵집들이 빵을 비싸게 파는 것처럼 오해하게 만들었다"고 반발했기 때문이다.
프랜차이즈와 개인 제과점 간 격차도 확인됐다.
대형 프랜차이즈는 매출지수가 높고 폐업률이 낮았으나, 개인 제과점은 상대적으로 매출이 작고, 폐업률이 높았다.
KCD는 캐시노트를 사용하는 사업장 중 2022년 6월부터 2025년 6월 사이 포스 데이터와 배달앱 데이터에 빵 판매 이력이 존재하는 3만7000여 사업장, 2024년 6월부터 2025년 6월 기준 KCD 업종 분류 기준 2개 업종(제과점·제과점, 다방·커피숍·카페)에 해당하는 1만5000여 사업장을 분석해 보고서를 작성했다고 밝혔다.
김현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