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가 역대 최저 수준으로 낮아졌지만 저축률은 오히려 높아지는 역설적인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26일 정부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 부문의 순저축률은 2013년도보다 1.2%포인트 높아진 6.09%를 기록했다. 가계 순저축률은 가계의 순저축을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비율로 주로 가계저축률을 분석할 때 쓰인다.

1990년대 초반만 해도 20%대를 유지했던 가계저축률은 2011년 3.39%까지 낮아졌다. 그러나 이후 △2012년 3.42% △2013년 4.90% △2014년 6.1% 등 3년 연속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가계저축률 증가 추이는 올해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한국은행의 자금순환 통계를 보면 올 2분기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예금이나 보험, 주식, 채권으로 굴린 돈(자금운용)의 증가액은 61조8000억원이다. 1분기(43조7000억원)와 비교해 18조1000억원 늘었다.

가계 부문을 중심으로 저축이 늘면서 기업과 정부, 가계를 모두 합한 총저축률은 지난 1분기 36.5%를 기록했다. 분기 기준으로는 1998년 3분기(37.2%) 이후 17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2분기 총저축률은 35.3%로 1분기(36.5%)보다는 1.2%포인트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이같은 가계저축 확대는 향후 경기 전망이나 노후 등에 대한 불안감이 반영된 측면이 강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통계청 조사결과를 보면 연간 지난해 2인 이상 가구의 평균소비성향은 72.9%로 해당 조사를 전국 단위로 확대한 2003년 이래 최저치를 보였다.

임진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저축률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가계저축 확대는 향후 경제성장, 고용, 임금 등에 대한 불안심리에 따른 예비적 저축 증가에 일부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소비위축 및 내수회복 지연 가능성을 의미하므로 우려되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