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호동 농협중앙회장 "협력은 상생의 선순환 구조 만드는 과정"

농협중앙회 강호동 회장(오른쪽)과 도 반 찌엔 베트남 조국전선중앙위원회 위원장이 지난 7월 31일 서울시 중구 농협중앙회 본관에서 양국 농업분야 상호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농협중앙회
농협중앙회 강호동 회장(오른쪽)과 도 반 찌엔 베트남 조국전선중앙위원회 위원장이 지난 7월 31일 서울시 중구 농협중앙회 본관에서 양국 농업분야 상호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농협중앙회

강호동 농협중앙회 회장은 베트남과의 협력이 단순한 지원을 넘어 상생의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과정이라며 베트남에서 뿌린 협력의 씨앗이 한국 농촌으로 돌아와 농업인의 삶을 지탱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15일 밝혔다.

이는 지난달 11일 이재명 대통령이 또 럼 베트남 공산당 당서기장을 초청해 청와대 영빈관에서 진행한 국빈 만찬에 강 회장이 참석하면서 나온 발언이다.

농협은 베트남과의 협력에서 다문화가정 정착 지원, 청년농업인 교류, 현지 사회공헌, 금융·경제 협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전개해왔다.

농협은 베트남 출신 결혼이민여성과 그 가족의 한국 농촌 정착을 돕기 위해 영농교육, 한국어·문화 교육, 모국 방문 지원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3년간 모국방문 지원을 받은 가정은 298가정 1144명에 달했다.

청년교류 프로그램도 활발하다. 올해 베트남 청년농업인들을 대상으로 한국의 선진 농업기술과 협동조합 운영 방식을 배울 수 있는 연수프로그램을 제공했다. 참가자들은 귀국 후 각자의 지역사회에 이를 적용할 계획을 밝히는 등 양국의 미래 농업 인재를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2023년에는 베트남협동조합연맹(VCA) 산하 북부경제기술대학교에 스타트업 지원센터 건립을 지원해 청년 창업과 혁신을 지원하고 있으며 매년 베트남 농업대학 재학생 등을 대상으로 장학금도 후원하고 있다.

현지 사회공헌 활동도 주목할 만하다. 농협은 지난 2013년 하노이 탄마이 중학교 도서관 건립 지원을 시작으로 초등학교·문화회관 건립, 태풍 피해 복구 성금 전달, 독립기념일 행사 후원 등 교육·생활 인프라 개선 사업을 지속해 왔다.

주민 참여형 생활환경 개선 프로젝트인 'NH Change Makers'는 단발성 기부를 넘어 지역의 지속 가능한 변화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경제·금융 분야에서도 농협은 현지 기반을 확장하고 있다. 2007년부터 농축산업 분야 외국인근로자 고용허가제(E-9)와 연계해 베트남 근로자의 취업교육과 행정지원을 담당해 왔으며 최근 3년간 약 2000여명이 관련 교육을 수료했다.

또한, NH투자증권이 2009년 베트남에 첫 사무소를 개설한 것을 시작으로 농협중앙회·농협은행·농협무역 등 총 7개의 사무소를 운영 중이며, 금융·무역·농식품 유통 등 다양한 사업을 진행 중이다. 특히 농협은행은 하노이지점에 이어 호치민 지점 설립도 추진하며 베트남에서의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은 "베트남과의 협력은 단순한 지원을 넘어 상생의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과정"이라며 "베트남에서 뿌린 협력의 씨앗이 한국 농촌으로 돌아와 농업인의 삶을 지탱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류지현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