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연립·다세대 31.9%, 2년 전보다 전셋값 하락
대구·인천 등 역전세 심화…보증금 반환 위험 커져
지난 2년간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가가 11% 상승한 반면 전국 연립·다세대(빌라)는 약 30%에서 전세가가 하락한 '역전세'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2023년 상반기와 2025년 상반기 전국 연립·다세대 실거래 데이터를 비교 분석한 결과, 동일 평형 전세 계약이 있었던 1만4550개 평형(타입) 중 31.9%에 달하는 4641개에서 전세 보증금이 하락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별로 평균 전세가 하락은 지방 광역시에서 두드러졌다. 인천의 연립·다세대 전세가는 2년 전보다 평균 7.0% 하락했고 대구는 9.7% 급락했다. 그 외 부산(-3.5%), 대전(-4.3%), 세종(-5.2%) 등 주요 광역시에서도 뚜렷한 하락세가 나타났다.
반면 서울은 2.4% 경기는 0.5%로 소폭 상승하며 수도권 내에서도 온도 차를 보였다.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전세가 평균 상승률(11.7%)에 비하면 사실상 보합 수준에 그쳤다.
지역별 전세가 하락에 따른 역전세 비율은 인천이 분석 대상 평형의 70.2%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기록했다. 이어 대구(64.3%), 부산(48.0%), 대전(44.1%) 등 평균 전세가가 하락한 지역에서 높은 역전세 비율을 보였다.
전국에서 역전세가 발생한 연립·다세대의 평균 보증금은 지난 2년간 1억8268만원에서 1억6518만원으로 1751만원(-10.3%) 하락했다. 광주광역시는 역전세가 발생한 연립·다세대 평균 보증금 하락 금액이 3364만원에 달해 전국에서 가장 큰 낙폭을 보였고 대구(-2524만 원), 제주(-3750만 원) 등도 높은 하락액을 기록했다.
수도권에서는 서울(-1800만원)과 경기(-1786만원) 모두 역전세가 발생한 집주인이 평균 1800만원에 가까운 보증금을 추가로 마련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나 보증금 반환 리스크가 상당한 것으로 분석됐다.
아파트 시장은 매매 시장의 불확실성으로 전세 수요가 몰리며 보증금이 높아진 반면 연립·다세대 시장은 전세사기 여파 등으로 수요가 위축되며 보증금 반환 리스크가 커지는 상황에 놓였다는 진단이 나온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빌라 시장에선 전세 사기 여파 등으로 수요가 위축되면서 전셋값이 하락, 집주인의 보증금 반환 리스크는 물론 세입자들이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며 "정부에서 발표한 초고강도 대출 규제로 빌라 전셋값 하방 압력은 더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박성대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