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대책 이후 8%포인트 이상 급증…'상투 잡았다' 손실 우려에 포기
6·27 대출 규제 후 매매 금액 10억원을 초과하는 아파트의 계약 취소 비중이 이전보다 8%포인트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규제에 따른 집값 하락, 이자 부담에 대한 우려가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6월 27일까지 매매 계약이 이뤄진 수도권 아파트의 해제 계약 현황을 분석한 결과, 6월 28일부터 이달 15일까지 신고된 해제 계약 중 매매 금액 10억원 초과 아파트의 비중은 35%로 나타났다.
이는 대출 규제 발표 전인 6월 27일까지의 26.9%보다 늘어난 수치다. 반면 취소된 계약 중 5억원 이하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대출 규제 발표 전 32.2%에서 25.1%로 줄었다. 5억원에서 10억원 이하 아파트의 비중은 같은 기간 40.9%에서 40.0%로 비슷한 수준이 유지됐다.
이같은 매매 금액대에 따른 차이는 투자 금액이 많은 고가 아파트에서 대출 규제 발표 전 계약을 체결한 매수자들이 향후 집값 하락에 대한 불안감에 계약을 포기한 결과로 해석된다. 투자 금액이 많을수록 향후 가격 하락 시 손실 규모가 커서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대출 규제 발표 전보다 발표 후의 해제 계약 비중이 늘어난 곳은 서초구·강북구·노원구 등 13곳으로 집계됐다.
지역별 비중은 고가 아파트가 밀집한 서초구가 대출 규제 발표 전의 2.5%에서 5.7%로 두 배 이상 늘었고, 강남구 역시 5.1%에서 6.5%로 1.4%포인트 높아졌다. 이른바 ‘한강벨트’에 속하는 마포구는 4.8%에서 6.1%로 1.3%포인트 증가했다.
집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노원구 역시 해제 계약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3%에서 7.3%로 늘었다. 도봉구(1.4%→1.9%), 강북구(1.3%→1.9%)도 비중이 증가했다. 자기 자본이 부족해 대출을 활용한 매수자들이 향후 집값 하락과 이자 부담에 대한 불안감으로 계약을 해제한 결과로 해석된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이번 대책은 '집값이 조정될 것'이라는 강력한 신호를 시장에 던진 것"이라며 "고가 아파트 매수자에게 자산 방어 심리를, '영끌' 매수자에게 손실 최소화 심리를 자극하며 계약 취소라는 행동으로 이끌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성대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