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그룹이 각 계열사의 독립 경영을 바탕으로 글로벌 투자 환경에 기민하게 대응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앞서 박현주 회장은 지난 2022년 인사혁신과 함께 "미래에셋은 지주사 체제로 가지 않고, 각자도생을 추구한다"고 밝힌 바 있다.
2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그룹은 미래에셋증권, 생명보험, 자산운용, 캐피탈, 컨설팅 등 각 계열사가 서로 출자하거나 순환출자 구조가 없는 수직적 독립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각 계열사는 자체적인 의사결정기구를 통해 투자와 경영을 독립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상품 경쟁력과 고객 이익을 최우선으로 삼고 있다.
앞서 박 회장은 지난 2021년 한국경영학회 융합학술대회에서 경영자대상을 수상하며 "나쁜 상품은 미래에셋 상품이라도 팔아서는 안 된다. 고객 신뢰가 최우선"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또한 "자녀는 이사회에만 참여시키고 전문경영인과 의사결정을 공유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을 고수할 것"이라며 2세 경영 대신 전문경영인 중심의 체제를 강조했다.
이러한 철학과 리더십은 세계적으로도 인정받고 있다. 2024년 7월 박현주 회장은 세계적 권위를 가진 국제경영학회(AIB, Academy of International Business)로부터 '올해의 국제 최고경영자상'(International Executive of the Year Award)을 수상했다. 이는 아시아 금융인으로는 최초며, 한국인으로서는 1995년 고(故) 최종현 SK그룹 선대회장 이후 두 번째다. AIB는 박 회장이 미래에셋그룹을 세계적인 수준의 투자은행(IB)으로 성장시킨 점을 높이 평가했다.
미래에셋은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지 않고, 각 계열사의 자율성과 책임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성장해왔다. 미래에셋증권, 생명, 운용, 캐피탈, 컨설팅 등은 상호 출자나 순환출자 없이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자체 경쟁력으로 이익을 창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자산운용의 상품 경쟁력이 부족할 경우 미래에셋증권이 판매를 하지 않는 방식처럼, 계열사 간 지원 없이 시장에서 검증받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독립 체계는 투명한 경영관리와 신속한 의사결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박 회장은 현재 그룹의 글로벌 전략가(Global Strategy Officer)로서 해외 비즈니스에 집중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전문경영인 중심의 체제를 유지할 뜻을 밝혀왔다. 상속세 납부 이후 자녀에게 주식을 상속하되, 경영에는 직접 참여하지 않게 하고 이사회의 일원으로 중대한 의사결정에만 참여하도록 한다는 원칙도 공개했다.
미래에셋은 이사회 산하 위원회를 중심으로 투명하고 공정한 지배구조를 강화하고 있다. 상장사인 미래에셋증권·생명의 사외이사는 대주주인 미래에셋캐피탈, 자산운용 등이 추천하되, 전문성과 독립성, 산업경험 등을 기준으로 구성된다. 또한 자산운용, 캐피탈 등 비상장사도 상장사 수준의 이사회·감사위원회·내부통제 시스템을 구축해 경영의 투명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금융지주회사법을 따르는 한국금융, 메리츠금융 등 지주사와 같이 삼성, 한화, 미래에셋, 현대차 등 7개 금융그룹은 금융복합기업집단 제도에 의해 당국의 엄격한 관리 감독을 받고 있다. 이밖에도 미래에셋은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에서도 두드러진 성과를 내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국내외 ESG평가사로부터 업계 최고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일례로 '다우존스 지속 가능 경영 월드 지수'에 13년 연속 선정됐으며, 증권업계 최초로 탄소공개프로젝트 CDP 기후변화 대응 평가 리더십 A등급을 획득한 바 있다. 이후에도 2024년 서스틴베스트로부터 상·하반기 모두 금융권 최고등급인 AA등급을 받은 데 이어 한국 ESG기준원으로부터 증권업 유일 3년연속 종합 A등급을 받아 국내 시장에서도 ESG경영 성과를 인정받고 있다.
최근에는 자사주 소각 등 주주환원책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통주식수의 감소는 주당 가치가 높아지며 주가가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주주가치 제고가 가능하다. 미래에셋증권은 경쟁사 대비 총 발행주식수 및 유통주식수가 월등히 높은 수준으로, 소각을 중심으로 실질 유통주식수를 줄이는 것이 주주환원의 1차 목표로 판단하고 있다.
미래에셋 관계자는 "미래에셋은 단순한 수직적인 지배구조로 의사전달이 빠르고 명확해서 급격히 변화하는 투자 환경에 대응할 수 있고 글로벌 비즈니스에 적합한 구조"라며 "글로벌 전문가의 책임경영을 통해 앞으로도 경쟁력 있고 혁신적인 회사가 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양성모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관련기사
- 박현주 미래에셋 회장 "시장 변화 이끌 킬러 프로덕트 만들어야"
- 박현주 미래에셋 회장 "인도를 혁신 허브로 성장시키겠다"
- "최고의 기부자 되겠다" 박현주 회장 15년 연속 배당금 전액 기부
- 미래에셋증권, 장중 52주 최고가 돌파…WM·해외법인 호실적
- 미래에셋자산운용 운용자산 '400조 시대' 개막
- 미래에셋증권, '2025년 글로벌 자산배분 포럼' 개최
- "미국株 급등락 궁금증 해결"…미래에셋증권 'AI이슈체크' 서비스 오픈
- 미래에셋증권 '2025 Korea Bond Market Forum' 성황리 개최
- 'TIGER 200 ETF 이달 일평균 거래대금 1000억원 돌파
- 미래에셋증권 '기관 신뢰 입증'…국민연금 평가 2관왕
- 미래에셋證 'Sage 라운드테이블' 개최…트럼프 시대 美 비즈니스 전략 공유
- 미래에셋證,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 ISA·주식계좌·종합저축까지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