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률 증가, 소득 정체, 월세화에 따른 주거비 부담 등이 2030 청년들의 주거소비까지 축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산업연구원이 29일 발표한 ‘청년가구의 주거소비 특성’ 보고서에 따르면 20~34세 청년가구의 주거 상황이 갈수록 취약해지고 최근 주거소비도 축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특히 청년가구 중 20∼24세 사회초년생의 주거상황이 가장 취약하고, 미혼 청년가구는 30대에도 여전히 주거상황이 어려웠다.

보고서는 이에 따라 “청년층의 연령과 결혼유무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해 주택정책을 세부적으로 수립해야 청년 주거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주산연에 따르면 청년가구의 실질소득과 실질자산은 1999년 금융위기 시점인 2008년까지 장년가구(35∼49세)와 유사한 증가 추세를 보였다. 그러다 2009년 이후 증가 추세가 둔화하면서 장년가구와 격차가 벌어졌다.

1999∼2014년 청년가구의 주거소비를 보면 주거면적 증가 수준은 3.1㎡로 같은 기간 장년가구의 11.5㎡보다 낮았다.

같은 기간, 월세가구 비율은 청년이 12.2%로 장년가구(5.7%)보다 빠르게 나타났다.

월세가구의 소득대비 주거비 부담도 청년가구(19.2%)가 장년가구(18.5%)보다 더 크게 나타나 청년가구의 주거소비 상황이 더 취약해졌다.

보고서는 이처럼 청년가구의 주거소비 상황이 나빠지는 것은 최근 청년실업률 증가와 소득증가의 정체, 월세화 진행에 따른 주거비 부담 증가 등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했다.

이런 문제는 장기적으로 청년가구의 주택자금 마련을 어렵게 해 혼인 시기가 늦어져 기혼 청년가구가 감소하는 사회문제로 연결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주산연은 “단기적으로는 청년가구의 주거비 부담을 완화해줄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청년가구의 주거상향 이동을 지원할 수 있는 자산형성과 주택마련을 위한 금융지원 확대 정책을 복합적으로 설계해 기혼 청년가구가 늘어날 수 있는 사회적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