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공장 파업으로 쟁위행위 진행 중임에도 연일 시위…'도 넘은 처사'
주민들 "왜 여기서 노조원들이 시위를 계속 하는지 모르겠다"며 하소연
현대제철 노조가 지난 1월 10일부터 진행하고 있는 주택가 장외 시위에 협력업체까지 가세하면서 주민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제철 노조는 최근 진행된 노사협상에서 경영 성과금과 독려금, 생활안정 지원금을 더한 '기본급 450%+1000만원'의 사측 제시안을 거부했다.
현재 노측이 제시하는 조건은 △기본급 15만9800원 인상(호봉승급분 제외) △사상 최대 규모 성과금 지급 △차량 구매 대출 시 2년간 1000만원 무이자 대출 지원 △정년 퇴직자 대상 3년마다 20% 차량 할인 지원 등이다. 최근 부진한 철강업과 건설업 경기를 감안해 사측은 이러한 요구에 난색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캐시카우 역할을 했던 철근 제품마저 판매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인천 및 포항 공장의 철근 설비는 올해 1월 가동일이 1~2주 정도에 불과할 정도로 심각한 상황에 놓여 있다.
현대제철은 가동률이 10%대로 떨어진 포항2공장의 가동 중단을 결정했지만, 노조가 거세게 반발하며 현재는 일부 재가동 및 2조2교대 형태로 근무가 축소된 형태로 사업장이 운영되고 있다. 업계는 이러한 낮은 운영 효율이 장기적으로 수익성 악화 요인이 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노조 시위 장소에 주요 사업장이 아닌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자택이 위치한 서울 용산구 한남동 일대가 포함돼 논란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남동 일대에서 벌어지고 있는 시위에는 '악질', '분쇄' 등 문구와 선정적 색상이 들어간 피켓·현수막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주택가 시위는) 회사 측은 물론 일반 시민들의 입장에서도 설득력을 얻지 못할 수밖에 없는 처사"라고 설명했다. 인근의 한 주민도 "왜 여기서 노조원들이 시위를 계속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현대제철 노조와 협력업체 노조는 주택가 시위는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인근 주민들의 불편도 가중될 전망이다.
한편 현대제철 노조는 지난해 10월 충남 지방노동위원회 조정 신청을 거쳐 쟁의권을 확보하면서 사업장 내 투쟁도 병행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달 21일과 22일 당진제철소 냉연공장 파업을 진행한 데 이어, 이달 2일에도 당진 냉연공장과 인천 공장 일부 라인에서 부분 파업을 진행했다.
박성대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