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7GW 규모 양수발전 발주 예상

경상남도 창원시에 위치한 두산에너빌리티 본사 전경./사진=두산에너빌리티
경상남도 창원시에 위치한 두산에너빌리티 본사 전경./사진=두산에너빌리티

두산에너빌리티는 국내 양수발전사업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참여한다고 3일 밝혔다. 

두산에너빌리티에 따르면 정부는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실무안을 통해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안정적인 계통운영을 위해 2038년까지 21.5GW(기가와트)의 장주기 에너지저장시스템(ESS)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대표적인 ESS로 꼽히는 양수발전의 향후 건설 예정 설비용량은 총 9기로 5.7GW에 달한다. 이 중 첫번째 사업으로 한국수력원자력이 13년 만에 충북 영동군에 500MW(메가와트) 규모의 신규 양수발전소 건설을 추진 중이다. 이 외에도 홍천·포천·합천 등에서 다수의 양수발전소 건설을 계획하고 있어 향후 수 조원 규모 주기기 발주가 예상된다. 

양수발전은 재생에너지의 간헐성과 변동성을 보완하는 ESS로 전력수요가 적은 심야의 저렴한 전력을 이용하거나 주간에 태양광으로 발생되는 여유전력을 저장했다가 전력수요가 증가할 때 상부댐의 물을 하부댐으로 낙하시켜 전력을 생산한다. 안정적인 에너지 저장·활용이 가능하며 수명이 길고 화재 등 위험성도 적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세계 ESS 설비 중 양수발전의 비중은 66.5%에 이른다.

두산에너빌리티는 2019년 세계 1위 수력·양수발전 주기기 공급사인 오스트리아 안드리츠사와 사업·기술협력 협약을 체결하고 국내외 수력발전 사업 확대를 위해 한수원과 공동으로 수력발전용 30MW급 수차·발전기를 개발하고 있다. 

김종두 두산에너빌리티 원자력BG장은 "양수발전은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전력망 안정성을 위한 최적의 대안"이라며 "원자력을 비롯해 수소터빈으로 전환 가능한 가스터빈, 수력·양수발전의 주기기 공급까지 무탄소 발전 솔루션 제공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근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