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시가총액 순위 상위 500위권 안에 포함된 한국 기업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2곳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9년 전 8개사에서 4분의 1로 줄었다.

14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이달 8일 기준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은 약 2684억달러(약 313조3529억원)로 글로벌 상장기업 시총(미국 달러 환산 기준) 순위에서 20위(상장지수펀드 제외)를 기록했다.

시가총액 517억달러(60조3784억원)인 SK하이닉스는 267위에 이름을 올렸다.

2010년 말에는 삼성전자(43위), 현대차(258위), 현대모비스(371위), 포스코(219위), LG화학(405위), 현대중공업(300위), 신한금융지주(423위), KB금융(457위) 등 8개사가 세계 시총 500위 내에 들었다.

그나마 삼성전자 순위는 10년 새 23계단 올랐고 2010년 말 805위였던 SK하이닉스는 무려 538계단이나 뛰어올랐다.

[그래픽=연합뉴스]
[그래픽=연합뉴스]

전문가들은 근본적으로 산업 구조가 제조업 중심에서 정보기술(IT) 중심으로 변화한 데 따른 것이라고 분석한다. 우리나라가 경제 구조상 수출 의존도가 높고 내수 기반이 취약하다는 약점도 거론된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로의 '쏠림' 현상도 심화했다.

지난 13일 현재 이들 두 종목의 시총이 코스피 시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6.25%로 거의 4분의 1 수준에 달했다.

특히 대장주인 삼성전자(21.99%)의 경우 시총 내 비중이 2010년 말(12.2%) 이후 10년 만에 9.79%포인트 늘었다. 삼성전자의 증시 영향력이 절대적인 셈이다.

한편 글로벌 시총 순위 1위는 애플이 차지했다. 애플의 시총은 약 1조1559억달러로 삼성전자의 4배가 넘는다.

애플 다음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1조1135억달러), 구글 모회사인 알파벳(9037억달러), 아마존(8854억달러), 페이스북(5422억달러) 등이 뒤를 이었다.

이밖에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해서웨이(5408억달러),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4873억달러), JP모건체이스(4089억달러), 중국 인터넷기업 텐센트(3994억달러), 비자카드(3533억달러)가 차례로 10위권에 들었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