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완화 기조 유지...올해 성장률 전망치 1.1%P↓ 외환위기 이후 첫 역성장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 참석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 참석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한국은행이 27일 기준금리를 연 0.5%로 동결했다.

한국은행은 이날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 본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0.5%로 유지하기로 했다. 금통위는 코로나19 팬데믹 공포가 한창이던 지난 3월 기준금리를 1.25%에서 0.75%로 낮춘 데 이어 5월에 추가 인하를 단행한 뒤 지난달에 이어 두 달 연속 금리를 동결한 것이다.

금융시장이 비교적 안정된 가운데 부동산·주식 등 일부 자산가격의 과열 우려로 추가 금리인하 필요성이 크지 않다고 판단한 결과로 풀이된다.

이로써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기준금리(0.00∼0.25%로 인하)와 격차는 0.25∼0.5%포인트로 유지됐다.

이날 금통위 결과는 시장에서도 예상했던 일이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2차 재확산이 우려되는 만큼 금통위가 경기방어를 위해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지킬 것으로 내다봤다.

기준금리를 더 낮추는 게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지적도 많았다.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추가 인하하면 미국 기준금리 상단과 같아져 외국인의 자금 유출 등이 일어날 수 있어서다.

한편 한은은 이날 발표한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5월 제시한 -0.2%에서 -1.3%로 1.1%포인트 하향조정했다. 

우리 경제가 역성장을 경험한 건 1980년(-1.6%), 1998년(-5.1%) 단 두 차례뿐이다. 예상대로라면 외환위기 이후 22년 만에 첫 마이너스 성장이 된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2.8%로 제시했다. 이 역시 종전 예상치(3.1%)보다 0.3%포인트 낮은 것이다. 올해와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각 0.4%, 1%로 전망됐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