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젠 220위→69위·알티오젠 195위→72위
KCC·대우조선·대한항공은 100위 밖으로
국내 시가총액 100개 기업 지형에 큰 변동이 생겼다. 코로나19 여파로 바이오 기업들이 대약진한 반면 제조업들은 곤두박질했다.
26일 기업분석 전문 한국CXO연구소가 1월 2일과 지난 22일 시가총액 100대 기업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시총 총 규모는 1182조원에서 1082조원으로 100조원(8.5%) 줄었다.
바이오 기업을 비롯해 2차 전지, 비대면 관련 정보통신(IT) 종목 기업들이 100위 안으로 다수 진입했다. 대표적으로 바이오 기업 '씨젠'은 올해 초 220위였다가 69위로 151계단이나 뛰었다. 알티오젠은 195위에서 72위로, 셀트리온제약은 148위에서 66위로 약진했다.
이외에 2차 전지 소재 기업인 에코프로비엠이 180위에서 98위로 뛰었고 식음료 기업인 하이트진로는 104위에서 85위로, 오뚜기는 109위에서 100위로 상승했다. 이외에 일진머티리얼즈(108위→95위), 스튜디오드래곤(101위→97위) 등이 시총 100대 기업에 새롭게 합류했다.
이와 반대로 1월에 100위 안이었다가 100위 밖으로 밀린 기업은 8곳이었다. KCC가 90위에서 141위로, 대우조선해양은 82위에서 110위로 밀렸다. 대한항공(88위→107위), 한미사이언스(89위→108위), 제일기획(87위→103위), GS건설(95위→105위), 팬오션(94위→109위) 등도 100위를 벗어났다.
시총 상위 10위권으로 좁혀봐도 변화폭이 컸다. 올해 초 10위 내였던 현대모비스(6위→12위), 포스코(9위→16위), 삼성물산(10위→11위) 등이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반면 삼성SDI는 18위에서 7위로, LG생활건강은 12위에서 8위로, 카카오는 22위에서 9위로 10위권 안에 새롭게 진입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1·2위 자리를 유지했다. 하지만 시가총액은 각각 11.7%, 14.1% 줄었다. 삼성전자의 22일 현재 시가총액은 291조원, SK하이닉스는 59조1865억원이다. 시가총액 3위인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같은 기간 28조원대에서 40조원대로 뛰어 2위인 SK하이닉스와의 격차를 약 18조원으로 좁혔다.
100대 기업 중 연초와 대비해 시가총액이 가장 크게 오른 기업은 씨젠이었다. 씨젠의 시총은 8119억원에서 2조8778억원으로 254% 수직 상승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