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7개월간 전국 6천여 단지 거래량 1건에 그쳐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에 따라 국토부에서 제공하는 실거래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부동산 가격정보 서비스가 봇물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실거래가만으로 정확한 시세 파악이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그 까닭은 무엇일까.

첫 번째, 실거래가 정보가 반영되기까지 최대 2개월의 시차가 발생해 적시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현행법상 주택매매 계약 체결 후 60일(2020년 2월부터는 30일로 단축) 이내에만 실거래가 신고를 하면 되기 때문이다.

두 번째, 거래량이 없거나 극히 드문 경우 시장 참여자들이 실거래가를 통해 가격을 파악하기가 사실상 어렵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7월까지 매매 실거래가가 한 건이라도 있는 아파트 단지 개수는 전국적으로 2만6435개로 집계됐다.

그러나 이 가운데 57%(1만5084개)는 단지당 매매건수가 5건 이하에 그쳤다. 6280개 단지는 7개월 동안 매매건수가 단 1건에 불과했다. 이 경우 실거래가를 시세의 기준점으로 삼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실거래가와 함께 전문 조사 기관에서 제공하는 시세 데이터를 함께 활용해야 보다 정확한 부동산 가격과 시장 흐름을 알 수 있다”며 “시세·실거래가·매물 평균가 등의 통합적인 가격 정보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