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 : 연합뉴스

가계빚 증가에 브레이크가 걸렸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가계신용 잔액(잠정)은 1450조를 넘어섰다. 규모면에서 사상 최대를 경신했지만, 증가율은 8.1%로 감소했다. 문재인 정부의 대출 규제 등 가계부채 대책이 성과를 거둔 셈이다.
 
가계신용은 가계부채를 포괄적으로 보여주는 통계다. 가계가 은행, 저축은행, 대부업체 등 각종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과 결제 전 신용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을 합친 액수다.

금리인상기에 접어든 상황에서 1450조9000억원에 달하는 가계신용 잔액은 한국 경제의 최대 위험요소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이 분석한 가계부채 위험수위 10개국 6위에 오를 정도로 가계부채가 급증한 국가다. 소득에 비해 부채가 과다하게 늘고 있어 가계부채 안정화가 시급하다.

이에 정부는 민간소비 위축, 금융안정 훼손을 초래할 수 있는 가계대출 감축에 집중하고 있다.

정부의 올해 목표는 가계신용 증가율 연 6%다. 지난해 내놓은 부동산 대책과 가계부채 대책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가계대출 감소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본 결과다. 여기에 정부는 가계부채의 질적 개선에 집중할 방침이다.

주택담보대출을 줄이자 신용대출이 늘어나면서 가계부채 질이 더 악화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4분기 예금은행 기타대출은 8조4000억원 늘었다. 전년 동기의 두 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여기에 제2금융권 기타대출 역시 3조3000억원이나 급증했다.

기타대출은 신용대출, 마이너스통장대출, 담보대출 등을 말한다. 담보없이 대출이 이뤄지는 대신 금리가 높아 위험도가 높다.

금리인상에 따른 가계별 이자부담 증가, 취약차주 보호 등도 숙제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4분기 시작한 미국 물가 상승세가 확대되면서 오는 7월 이후에는 연방준비은행의 목표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즉, 미국의 금리인상 압력이 높아지면서 속도가 가팔라질 가능성이 커진 것이다. 미국 금리인상이 빨라지면 우리 경제에 미치는 효과도 커지게 된다. 국내 시중금리 상승으로 이어지면 가계의 부채 상환부담이 늘어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는 경제성장률 3% 달성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