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덕 손보협회장 이어 생보협회에도 ‘관’ 출신 앉을 가능성 높아
“출신 떠나 능력치로 평가해야” 지적도

생명보험협회가 차기 회장 선출을 두고 고심에 빠졌다. 앞서 신임 손해보험협회장에 김용덕 전 금융감독위원장이 선임되면서 생보협회장도 체급을 맞춰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 불거지고 있어서다.

14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이수창 생보협회장의 임기는 다음달 8일로 끝난다. 생보협회는 오는 24일 회장추천위원회를 개최하는 안건을 이사회에 서면으로 부의하기로 한 상태다. 회추위는 삼성·한화·교보·농협·동양생명 5개 이사회사 대표에 인사에 한국보험학회장, 리스크관리학회장을 더해 모두 7명으로 구성된다. 생보협회 이사회사 9개사는 15일까지 안건에 입장을 회신해야 한다.

그러나 차기 생보협회장 후보로 하마평에 오르고 있는 인물은 극소수다. 지금까지 차기 협회장 후보로 회자되 온 이들 중에 ‘장관급’이 없는 까닭이다. 손보협회장 인선 전에는 민간 보험사 최고경영자(CEO) 출신들이 언급되기도 했으나 지금은 전혀 힘이 실리지 않는 분위기다.

생보사의 자산 규모는 813조원 수준으로 264조원 규모인 손보사보다 네 배 가까이 된다. 생보협회장에 손보협회장보다 무게감이 있는 인물이 와야 하지 않느냐는 여론이 형성되는 까닭이다.

하지만 관료 출신의 후보를 선정해 회장으로 선출한다 해도 문제는 있다. 가까스로 벗어났다 싶었던 이른바 ‘관피아’ 논란에 다시금 불이 붙기 때문이다. 손보협회와 생보협회는 민간 이익단체지만 협회장을 뽑을 땐 실상 금융당국의 입김이 많이 작용해왔다. 장남식 전 손보협회장과 이수창 생보협회장은 민간 출신이긴 하지만, 이들이 선임되던 2014년에는 세월호 참사로 인해 낙하산 인사에 대한 사회적인 거부감이 컸다. 

김용덕 손해보험협회장 / 사진제공: 손해보험협회

김용덕 전 위원장의 손보협회장 선임은 2014년 세월호 사태 뒤 관피아 논란으로 물러났던 관료 출신이 다시 협회장으로 선임된 금융권 첫 사례였다. 여기에 생보협회, 그리고 은행엽합회 등에까지 관료가 앉게 되면 ‘관치금융’의 부활이라는 지적을 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업계 일각에서는 ‘민이냐 관이냐’, ‘YB냐 OB냐’에 지나치게 함몰돼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솔직히 우리로서도 관 출신이라고 다 좋은 게 아니다. 현직인 후배들 눈치를 보느라 업계 이해를 반영하기보다는 정부 정책을 회원사들에 펴려는 경우도 있다. 반면에 민 출신도 당국 쪽과 소통을 잘하기도 한다”라면서 “출신이 아니라 어떤 사람이냐가 중요한데, 실제 선임 과정에서는 이런 점보다는 출신만 부각돼 논의가 오가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생보협회는 2∼3차례 회추위 회의를 열어 최종 후보자를 선정한 뒤 총회에 안건을 올린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협회장 선출 과정에서 계속해 난항을 겪게 되면 내달 8일까지인 현 생보협회장 임기를 넘겨 차기 회장 선임 절차가 이어질 확률도 존재한다. 이 경우 후임자가 뽑힐 때까지 현 회장이 직무를 수행한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