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월 누적거래가 작년 전체 넘어서…10월 거래량은 10만6000건

올해 1∼10월 누적 주택매매거래량이 100만8000건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5% 증가한 수치다. 작년 한 해 거래량(100만5000건)도 넘어섰다.
10일 국토부에 따르면 작년 주택거래량은 2006년(108만2000건)을 제외하고 최대치로 집계됐다. 그러나 올해 주택거래량이 두 달을 남기고도 작년 전체 거래량을 상회하면서 올해 사상 최대 주택매매가 기록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10월 주택거래량은 10만6274건으로 작년 동기보다 2.8% 감소했다. 국토부는 작년보다 거래량이 줄어든 것은 9·1 대책의 영향으로 작년 10월 주택거래량이 상대적으로 많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10월 주택거래량은 전월(9월)과 비교해서는 23.4% 늘었다. 국토부는 10월 주택거래량이 전월보다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은 가을 이사철 수요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이와 함께 지난 9월 말에 추석연휴가 있어 주택 매매자들이 10월로 거래를 미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지역별 10월 주택거래량은 수도권이 작년보다 3.6% 증가한 5만6199건, 지방이 9.2% 줄어든 5만75건이었다.
10월까지 누적 주택거래량은 수도권이 51만9075건, 지방이 48만8932건으로 지난해와 비교해 각각 36.3%, 10.6% 증가했다.
주택 유형별로 보면 올해 10월 아파트는 작년보다 11.0% 줄어든 7만140건을 기록했다. 연립·다세대주택은 2만530건, 단독·다가구주택은 1만5604건으로 20.6%, 15.3%씩 늘었다.
전국 주요 아파트 단지 실거래가격은 강남권 재건축 단지와 수도권 일반단지 모두 상승세를 지속했다.
강남 대치 은마 76.79㎡는 9월 9억6700만원에서 10월 9억9000만원으로 올랐다. 송파 가락 시영 40.09㎡는 5억7200만원에서 6억원으로, 노원 중계 주공2차 44.52㎡는 1억7200만원에서 1억7500만원으로 상승했다.
분당 정자 한솔마을 주공4차 41.85㎡는 2억4100만원에서 3억5850만원 가격이 뛰었다. 경기 군포 세종 58.46㎡는 2억8500만원에서 2억9000만원, 수지 죽전 죽전힐스테이트 85.00㎡는 4억원에서 4억1000만원으로 올랐다.
부산 연산 연산엘지 84.99㎡는 2억6800만원에서 2억7800만원으로 실거래가가 상승했다.


